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문제와 정답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수능이 치러진 13일부터 17일 오후 6시까지 문제와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아 심사한 결과 모두 '이상 없음'으로 판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올해 이의 신청 건수는 675건으로 지난해(342건)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었다.
영역별로는 영어가 467건으로 전체 이의신청 건의 69%를 차지했다. 이어 국어와 사회탐구가 각각 82건이었으며, 이어 수학(23건), 과학탐구(17건), 제2외국어/한문(2건), 한국사·직업탐구(1건) 순이었다.
이 중 문제 및 정답과 관련 없는 의견 개진, 취소, 중복 등을 제외한 실제 심사 대상은 51개 문항 509건이었다.
평가원은 국어 3·17번 문항과 영어 24번 문항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설명을 했다.
국어 3번 문항의 경우 "접수된 이의 신청은 없었지만 추가로 외부 자문을 거쳐 검토한 결과 이 문항의 지문 및 정답에 이상이 없다"고 밝혔고, 국어 17번, 영어 24번의 경우 "문항과 정답에 이상이 없다"고 설명했다.
국어 3번에 대해서는 "이 지문은 '단순 관점' 이론을 수능 국어 시험의 상황을 고려해 제시한 것"이라며 "지문의 '언어 이해'에 관한 내용은 '단순 관점' 이론에 부합하므로 지문을 바탕으로 정답을 4번으로 확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어 17번과 관련해서는 "<보기>의 갑의 입장은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이 보장될 수 없고, 살아 있는 신체도 인격의 구성 요소에 포함돼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러한 갑의 입장은 지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의 핵심인 '영혼'에 대한 내용과 상이하므로 정답을 3번으로 확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의신청이 360여건으로 가장 많이 들어온 영어 24번과 관련해서는 "본 지문은 culturtainment의 전개 과정에서 상업적 이익에 치우치게 되면 문화가 가진 고유한 특질이 훼손될 수 있어 둘 사이의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라며 "선택지 2번의 'Cash or Soul?'은 상업적 이익과 문화의 고유한 특질, 두 가치가 서로 긴장 관계에 있음을 수사학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지문의 중심 내용을 가장 잘 담고 있는 제목"이라고 밝혔다.
평가원은 출제에 참여하지 않은 외부 전문가가 포함된 이의심사실무위원회의 심사와 이의심사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51개 문항 모두에 대해 '문제 및 정답에 이상 없음'으로 판정했다.
평가원은 51개 문항에 대한 심사 결과를 이날 오후 5시에 홈페이지(www.kice.re.kr)에 공개했다. 평가원은 다음 달 5일 수험생에게 성적을 통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