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부 내부에서 정부조직 개편 이후 기능·위상 약화 우려와 조직문화 혁신 요구가 동시에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 직원 타운홀 미팅을 열고 이러한 진단 결과를 공유하며 조직 활력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타운홀에는 본부와 산하기관 직원 500여명이 참석했으며, 사전에 익명으로 실시된 '조직문화 진단 설문'에는 약 220명이 참여했다.
정부조직 개편으로 기존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 기능이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이관되고 부처 명칭도 '산업통상부'로 축소됐다. 이로 인해 정책 범위가 좁아질 수 있다는 내부 우려가 이번 논의의 배경이 됐다.
설문에서 직원들은 제조업의 인공지능 전환(30%), 대미 투자·통상(26%), 경제·산업안보(20%) 등 핵심 기능을 대폭 보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직문화 개선 요구도 컸다. 응답자의 42%가 "조직문화 혁신이 시급하다"고 답했으며 △형식적 보고 관행 축소 △비대면 보고 확대 △근무시간 외 연락 자제 △정기 인사체계 확립 및 주요 보직 절차 투명화 등을 주요 개선 과제로 꼽았다. 국별·직급별 대표자들도 인사제도 개선과 조직운영 방식 개선 의견을 제시했다.
김정관 장관은 "대미 관세 협상 타결 등 산업부의 책임은 더 커지고 있다"며 "직원 모두가 성취를 느끼고 핵심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활력 있는 조직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지난달 27일 출범한 조직혁신팀을 중심으로 조직·인사 혁신 과제를 지속 발굴하고, 이행 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개선책이 실제 문화 변화로 이어지도록 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