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5일 한반도 문제의 해결 방안과 관련해 "미국의 승인과 결재를 기다리는 그러한 관료적 사고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한반도 문제의 특성"이라며 한반도 정책의 '자기결정권'을 강조하고 나섰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이날 통일부 주최의 '한반도 평화경제 미래비전 국제세미나'에서 지난 1998년 11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금강산 관광의 첫 출항 날짜를 미뤄야한다는 기류에도 불구하고 당시 김대중 정부가 출항 일정을 고수한 사실을 언급하며 이런 입장을 밝혔다.
정 장관은 당시 정부 내에서는 북한의 금창리 지하 핵시설 의혹이 제기된 상황에서 원래 정해진 출항 날짜를 미국 대통령의 방한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면서 "하지만 당시 김대중 대통령은 클린턴 대통령이 (방한을 위해) 일본을 떠나기 전에 38선을 넘어라'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이런 사례를 "(한반도 문제의) 자기중심성, 자기결정권을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의 발언은 이날 오후 케빈 김 주한미국대사대리 접견을 앞두고 나온 것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각종 정책에서의 '자기결정성'을 강조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한편 정 장관은 이날 '경기통일포럼 2025'에 보낸 축사에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취한 선제적 긴장 완화조치로 접경지역의 평화가 회복되는 변화가 이루어졌지만, 아직 가시적인 남북관계의 진전은 나타나지 않아 국민적 우려도 크다"면서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서는 북미관계 등 북한과 국제사회의 관계정상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그러면서 "비록 이번 APEC 계기 북미 정상회동은 성사되지 않았지만 북미 양 측은 대화에 열려있다는 입장을 보여 온 바 있다"며 "정부는 조속한 북미정상회담 개최를 지지하며, 북미대화가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이끌어내는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대화 여건 조성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