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까지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사고 사망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사망 사고는 줄었지만 건설업과 서비스업 등 기타업종에서 사망자가 늘어난 탓이다. 특히 50인 미만 영세 사업장에서의 인명 피해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고용노동부가 25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누적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 잠정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재해조사 대상 사고 사망자는 총 457명(44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443명(411건) 대비 14명(3.2%) 증가한 수치다.
업종별로는 희비가 엇갈렸다. 제조업은 119명으로 전년 대비 15명(11.2%) 감소하며 안정세를 보였다. 반면, 건설업은 210명으로 7명(3.4%) 늘었고, 도·소매업 등이 포함된 기타업종은 128명으로 22명(20.8%)이나 급증하며 전체 사망자 수 증가의 주된 원인이 됐다.
사업장 규모별 양극화 현상도 뚜렷했다. 상대적으로 안전 관리 체계가 갖춰진 50인(억) 이상 사업장은 사망자가 182명으로 12명(6.2%) 감소했으나, 50인(억) 미만 중소·영세 사업장은 275명으로 26명(10.4%)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끼임이나 화재·폭발 사고는 줄었지만, 재래형 사고인 떨어짐(추락)과 무너짐 사고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기타업종의 사망자 급증은 도·소매업(20명, +11명)과 농림어업(19명, +10명) 등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도·소매업에서는 운반 작업 중 지게차나 트럭에 부딪히는 사고가, 농림어업에서는 벌목 작업 중 쓰러지는 나무에 맞거나 임산물 채취 중 떨어지는 사고가 잦았다.
노동부 오영민 안전보건감독국장은 "기타 업종에서도 이제 도소매업, 농립어업 그리고 거기서도 이제 5인 미만 규모에서 좀 많이 증가했다는 것들을 볼 수가 있다"고 설명했다.
건설업의 경우 지난 2월 발생한 기장 화재사고(6명 사망)와 세종-안성 고속도로 붕괴 사고(4명 사망) 등 대형 사고의 여파도 있었으나, 근본적으로는 5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의 사망자가 19명이나 늘어난 점이 증가 폭을 키웠다. 공사 기간이 짧고 안전관리 수준이 열악한 소규모 현장의 구조적 문제가 여전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정부는 사망사고 증가세를 꺾기 위해 4분기 산재 예방 활동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우선 지난 달 말부터 연말까지 '집중점검주간'을 운영, 사고가 잦은 소규모 건설현장과 기타업종을 대상으로 전국적인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
또한 최근 사고가 빈번한 분야에 대한 핀셋 대책도 내놨다. 지붕공사 추락대책, 1억 원 미만 건설현장 추락 감독, 벌목작업 안전강화 대책 등이 대표적이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지방 노동관서와 자치단체의 협업도 강화한다. 맨홀 작업이나 자치단체 발주 공사 현장 등에 대해 합동 점검을 실시해 행정력이 미치지 못했던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건물종합관리업, 위생 서비스업 등 관련 협회 및 단체와 간담회를 갖고 회원사의 안전 수칙 준수를 독려하는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노동부 류현철 산업안전보건본부장(차관급)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작은 사업장의 노동자들이 사망자 수가 더 증가했다는 부분에서는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면서 "또 한편으로는 해야 될 일들이 어떤 것인지 잘 확인된 것 같다"며 소규모 영세 사업장 중심의 산업안전 관리를 강화할 방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