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산업 현장의 인공지능 전환을 본격화하며 양재 일대를 'AI 산업 메카'로 키우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시는 25일 양재동 AI허브에서 '서울 산업 AX(AI로의 전환) 혁신센터'와 '서울 AI 혁신협의회' 출범식을 열고 산업·대학·연구기관·스타트업을 하나로 묶는 서울형 AI 실행체계를 가동했다.
제조·물류·콘텐츠 등 산업현장은 AI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전문 인력과 인프라가 부족해 실제 도입에 어려움이 크다. 서울시는 이 같은 간극을 해소하기 위해 이번에 AX 수요 접수→공정 진단→기술 검증→현장 실증→확산까지 모든 과정을 서울 안에서 처리할 수 있는 '완결형 플랫폼'을 구축했다.
산업 AX 혁신센터는 중소기업이 상시 상담과 컨설팅을 받을 수 있는 원스톱 지원 창구로 운영된다. 기술 공급기업과 수요기업 매칭, 학계·연구계 컨소시엄 구성, PoC(기술검증) 설계와 실증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는 실무 허브 역할을 맡는다.
서울 AI 혁신협의회에는 서울대·KAIST·연세대 등 10개 AI·융합대학원이 참여한다. 이들은 문제 정의, AI 자문, 공동연구, 현장 실증을 지원하며 산업 전환의 '두뇌' 역할을 담당한다. 서울시는 대학·산업·서울AI허브가 하나의 체계로 움직이게 되면서 3대 AI 거버넌스 체계가 완성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실증사업에는 건설·패션·물류·콘텐츠 등 20개 기업이 참여해 생산성 향상, 운영비 절감 등 체감 성과가 확인됐다. 서울시는 성과를 산업별 전환 모델과 적용 가이드로 정리하고 내년부터 지원을 상시화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은 AI 흐름을 따라가는 도시가 아니라 표준을 만드는 도시가 될 것"이라며 "산업 AX센터가 연구–실증–확산의 선순환을 만들며 'AI로 미래를 주도하는 도시'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