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 좌초 당시 '항로이탈 알람' 꺼져 있었다…좌초 사고 당시 관제사,"관행"

홀로 근무 중이던 관제사, "항로이탈알람 원래 꺼져있었다" 진술
좌초 당시 관제사 "작은 어선 항로 이탈에도 알람 울리는 통에 관행적으로 꺼놔"
항로이탈 알람의 목적 '사고 예방'인데…논란 예상

20일 오전 전남 목포시 삼학부두에서 해경과 국과수가 2만6천t급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에 대한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남 신안 해상에서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가 좌초할 당시 목포 해상교통관제센터(VTS)의 항로이탈 알람은 꺼져 있었던 것으로 해경 조사에서 드러났다.

목포해양경찰서는 전남 신안 해상에서 좌초한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의 움직임을 살피며 사고를 예방할 의무가 있는 목포 VTS 관제사 A씨를 소환해 입건 전 조사를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조사 결과 여객선 좌초 사고 당시 VTS의 항로이탈 알람은 이미 꺼져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관제사 A씨는 항로 이탈 알람을 켜 놓을 경우 1~2명이 타고 있는 어선들이 조금만 항로를 이탈해도 알람이 울린다며 실제 위급한 상황을 구분할 수 없어 업무에 방해가 된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해경 관계자는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이렇게 소형 어선들이 많이 움직이는 지역의 경우 알람을 꺼놓고 관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목포 VTS는 8400㎢ 해역을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해 관제하고 있다. VTS는 24시간 선박 이동을 감시하며, 항로 이탈이나 위험 요소를 조기에 포착해 사고를 예방하는 핵심 기관이다.
 
항로이탈 알람은 관제 구역 내 선박이 정상 항로를 벗어나면 소리로 이를 알려주는 시스템으로, 이 시스템을 통해 사고를 예방한 사례도 있다고 해경은 밝혔다.
 
앞서 좌초 사고가 벌어진 지난 19일 해당 해역의 관제를 홀로 담당하고 있던 A씨는 여객선의 비정상적 운행을 미리 알아차리지 못했다. A씨는 일등항해사의 신고를 받고 나서야 좌초 사실을 인지해 후속 조치를 진행했다.
 
김성윤 목포 VTS 센터장은 지난 20일 언론 브리핑에서 "관제 업무를 잘 해냈다고 말할 수는 없고 미흡한 점이 있다"면서 "실제 관제 측면에서 잘못이 있다면 본격적인 해경의 조사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항로이탈 알람의 목적은 선박 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역할임에도 이를 종료해둔 채 관제 업무를 진행하는 관행이 자리잡았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예상된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