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청년층 취업, 새 일자리 줄고 비정규직 비중 늘어

연합뉴스

2030 청년층의 임금근로 새 일자리가 역대 최소 규모로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확보된 일자리도 비정규직 비중이 늘면서 청년 고용이 양적·질적으로 모두 악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4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임금근로 일자리 중 2030 청년층 신규채용은 2분기 기준 240만 8천 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만 6천 개 감소했다.

이는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2분기 기준 가장 적은 수준이다. 특히 2018년 2분기 285만 6천 개와 비교하면 50만 개 가까이 사라졌다. 2022년 279만 3천 개, 2023년 272만 5천 개, 지난해 252만 4천개 등 3년째 감소세가 이어지면서다.

20대 이하 신규채용은 137만 개로, 지난해 2분기보다 8만 4천개 줄어 관련 집계 이후 최소 규모다. 30대 신규채용도 103만 8천 개로 3만 2천 개 감소해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신규 고용 둔화가 두드러졌다. 2분기 건설업의 30대 이하 신규 일자리는 18만 7천 개로 전년보다 3만 2천 개 줄고, 제조업도 42만 8천 개로 4만 8천 개 감소했다.

구조적인 성장세 둔화, 미국 관세장벽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로 기업들이 사업 확장이나 신규 채용을 꺼리는 데다, 수시·경력직 위주로의 채용 관행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내년부터 정년 연장 논의까지 본격화하면 신규채용은 더 줄어들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그나마의 고용에서도 비정규직 비중이 크게 늘어, 고용의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까지 흔들리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8월 기준 2030 임금근로자 811만 명 중 비정규직은 257만 명으로 전체 31.7%에 달했는데, 이 같은 비중은 2004년 이후 21년 만에 최고치다.

어렵게 취업에 성공한 2030 청년의 3명 중 1명은 비정규직인 셈이다.

이처럼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 고용이 양적·질적으로 모두 악화하면, 구직 단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 3분기 기준 2030대의 '쉬었음' 인구는 73만 5천 명으로,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청년 고용 전망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9월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이라는 응답이 62.8%에 달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