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사고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북 전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사고 예방과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한 발 빠른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21일 시의회의 대중교통국에 대한 행감에서 최서연(진북동, 인후1·2동, 금암동)은 "PM 관련 사고가 잦다. 전동킥보드 없는 안전한 도로 환경을 위해 전주시의 개선 이행 여부를 끝까지 점검하겠다"고 했다.
장병익 의원(완산동, 중화산1·2동)은 "많은 사람들이 전동킥보드 없는 도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국회에 발의된 관련 법안들이 통과되는 대로 행정도 이에 적극 발맞춰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소미혜 교통정책과장은 "안전 부분에 대해 걱정하는 것을 충분히 알고 있다. 관련 법안이 다수 계류 중"이라며 "지자체 단독으로 할 수 있는 사안은 제한적이지만 PM 불법 주정차 단속 등을 위해 유관기관과 협업하고 있다"고 했다.
온혜정 의원(우아1·2동, 호성동)은 "전주한옥마을 제1공영주차장 부지에 짓는 LED 외관 건물이 한옥마을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것 아니냐"며 "이미 주변 상권의 공실률이 높은 상황에서 상권 매출 잠식의 위험이 크다"고 했다. 이 건물은 1500억원을 들여 민간 점용허가 방식(BOT)으로 짓는 복합시설이다.
최명권 의원(송천1·3동)은 버스업체 재정 지원의 투명성 확보와 시내버스공동관리위원회 역할 강화 등을 주문했다. 그는 "전주시가 지난해 버스업체에 564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했다. 집행 항목 중 운영비, 기타 인건비 항목이 적정하게 집행됐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또한 시내버스 운전원의 난폭 운전과 불친절을 언급하며 시내버스공동관리위원회의 적극적인 개입과 역할에 힘을 보태달라고 주문했다.
백미영 버스정책과장은 "해마다 재정 지원금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전문회계법인이 지원금 규모의 적정성과 합목적성을 검증하고 있다"며 "다른 지자체와 업체별 분석을 통해 경영 개선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준수 여부는 보조금 산정할 때 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