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한강버스 잠실선착장 이동요구에 "검토해 보겠다"

한강버스 동절기 운항중단 요구에도 "과도한 대응" 일축

빨간 원이 최초 검토했던 잠실선착장. 파란 원이 현재 위치. 파란 원 왼쪽의 가스배관 때문에 준설을 충분히 할 수 없어 이번에 좌초 사고가 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영실 의원 제공

최근 한강버스가 잠실선착장 인근에서 강바닥 밑걸림 사고가 난 것과 관련해 잠실선착장을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일 서울시의회 정례회에서 이영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오세훈 서울시장을 상대로 "잠실선착장까지의 접근성을 개선한다는 이유로 선착장을 잠실 나들목 인근에서 잠실새내역 나들목 인근으로 이동한 것으로 아는데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 지점은 가스관이 콘크리트로 덮여 준설을 더 하지 못해 수심이 낮아져 위험하다"며 "하류 쪽 이크루즈 유선장 쪽으로 선착장을 옮기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이번 사고는 항로 이탈 때문에 발생한 만큼 준설이나 수심과는 무관하다는 취지로 반박했다.
 
그러나 거듭되는 이 의원의 요구에 "일단 검토해보겠다"고 물러섰다.
 
이 의원은 한강버스를 동절기 한강버스 운항 중단을 요구하기도 했다.
 
동절기 동안 운항을 멈추고 안전 점검 후 내년 봄 재개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오 시장은 "완전 중단은 과도한 대응"이라며 "4계절 데이터를 축적해야 기상·수심 조건에 맞는 운행 기준을 만들 수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데이터가 쌓이면 계절별 운항 횟수를 조정하는 방안은 검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상 대응 매뉴얼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 의원은 한강버스 측이 배터리 화재 등 사고 시 안전 확보를 위한 비상대응절차서는 제대로 마련하지 않은 채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언론대응 매뉴얼만 만들었다고 꼬집었다.
 
오 시장은 "언론 대응 매뉴얼은 업계 공통 형식을 가져온 것"이라며 "비상 대응 체계는 계속 보완 중"이라고 해명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