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운영위 파행…본질은 '성희롱'

[기자수첩]
경기도의회 운영위 19일 행정사무감사 파행
경기도 "성희롱 위원장 진행 감사 못 받아" 불참
김진경 의장 "의회 경시"…공무원들 반발
의회 vs 집행부 대립으로 비화 조짐
의회 윤리특위 5개월째 공회전 '책임론' 불가피
경기여성단체연합, 행감 불참 지지 성명 발표
"위원장직 내려놓고 재판에 전념해야…"

19일 경기도의회 운영위원회 행정사무감사를 주재하는 양우식(국민의힘·비례)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 연합뉴스

"남자랑 가? 여자랑 가? 쓰○○이나 스○○ 하는 거야? 결혼 안 했으니 스○○은 아닐 테고…."
 
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국민의힘·비례)이 의회 직원에게 했던 문제의 발언이다. 그는 지난달 28일 모욕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피해자에겐 2차 가해가 될 수 있는 '그의 워딩'을 유감스럽게도 다시금 꺼낸 이유가 있다. 19일 경기도의회 운영위원회 행정사무감사가 파행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이번 사태의 본질이 가려지는 것 같은 안타까움 때문이다.
 
이날 경기도지사 비서실 직원들과 보좌진들은 '동료를 모욕한 양 위원장이 진행하는 감사는 받을 수 없다'는 이유로 회의에 불참했다.
 
김진경 의장은 곧바로 '의회 경시'라며 유감을 표명했다. 반면 경기도청 익명게시판에는 "성희롱 문제 삼은 게 의회를 경시한 거냐?" "성희롱도 존중해야 하는 건가요?" 등 의장의 입장문에 대한 불만 글들이 올라왔다.
 
파행의 원인을 두고 양 위원장의 성희롱은 온데간데없이 의회와 집행부간 대립으로 비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법에 따라 피감기관의 출석을 요구하는 의장도 명분이 있고, 범죄 행위(모욕)로부터 동료를 지키고자 하는 집행부도 명분이 있어 보인다.
 
다만 한 사람은 명분이 없어 보인다. 양 위원장이다.
 
양 위원장은 경찰 조사를 받고, 검찰에 의해 기소될 때까지 단 한 번도 피해자에게 사과 한 마디 건넨 적이 없다. 뿐만 아니라 운영위원장직은 물론 의원직 유지마저 부적절함을 지적하는 경기도 노조와 언론을 향해서는 법적 대응 운운하며 2차, 3차 가해를 해왔다.
 
말 그대로 그는 '그냥' 버티고 있다. 그는 어떻게 그렇게 막무가내로 버틸 수 있는 걸까.
 
양 위원장의 성희롱 건은 지난 6월 10일 윤리특위에 회부됐다. 의원징계요구안은 회부된 날로부터 3개월안에 심사를 끝내야 한다. 양 위원장 건은 이미 5개월이나 지났다.
 
하물며 지난 6일 열릴 예정이었던 윤리특위는 개회조차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12명(민주당·국민의힘 각 6명) 중 5명만 참석해 개회 정족수 7명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운영위 파행 사태에 경기도의회 윤리특위 의원들은 아무런 책임감도 느끼지 않는 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날 운영위 파행 소식에 시민단체 경기여성단체연합은 행감 불참 지지 성명서를 냈다.
 
그들은 양 위원장이 의회 홈페이지에 올린 인사말을 인용해 "도민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민원 해결 멘토' 역할은 도덕성 상실로 이미 끝난 것이나 다름없다"며 "즉시 운영위원장직을 내려놓고 재판에 전념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양 위원장은 이번 사태에 대해 공교롭게도 "도민에 대한 '모욕'"이라고 했다. 양 위원장은 피해 직원도 도민의 한 사람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결자해지 하라.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