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 맞은편 세운4구역 재개발 사업 높이 계획 변경에 문제를 제기하자, 세운4구역 토지주들이 "선정릉은 문제없고 종묘는 안 되는가"라며 형평성 문제를 들어 재차 반발했다.
세운지구 토지주들은 19일 입장문을 내고 "세계유산인 선정릉 주변에는 고층빌딩이 즐비한데, 종묘만 예외적인 규제를 받고 있다"며 "국가유산청의 높이 규제가 형평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선정릉과 비교하면 세운지구가 과도한 제약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선정릉으로부터 약 250m 거리에 151m 포스코센터, 154m DB금융센터가 서 있고, 500~600m 지점에는 무역센터(227m) 등 초고층 건물들이 즐비하다.
그럼에도 선정릉은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고, 등재 취소 논란조차 없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세운4구역은 종묘 정전에서 600m 이상 떨어져 있고, 종묘 주 시야에서도 벗어난 측면에 위치해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종묘 정전은 남산을 향해 배치되어 있어 세운4구역은 일반적인 주 시야 범위(60도) 바깥에 있다"며 "유독 이 지역만 '지목해' 재개발을 가로막는 것은 부당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토지주들은 해외 사례도 제시했다.
영국 런던 타워는 세계유산이지만 400~800m 이내에 160~309m 초고층 개발이 이뤄졌고, 도쿄 왕궁 역시 고도 규제를 완화하면서 200~385m급 빌딩군이 형성됐다는 설명이다.
이들은 이에 따라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종묘는 제례 공간과 건축양식이 등재 기준이지, 주변 노후 건물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기준이 아니다"며 "세운지구 재개발은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종묘의 가치를 오히려 부각시키는 결과를 만들 수 있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