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한 백신 임상 지원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질병관리청은 19일 서울 용산 서울드래곤시티에서 '감염병 백신 개발 임상 지원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설명회는 산학연병 전문가와 임상 연구진을 대상으로 정부의 백신 임상시험 지원 체계와 팬데믹 대응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그간 감염병 백신 개발을 위한 비임상·임상 시험 분석을 지원해왔으며 민간의 개발 현황과 수요를 파악해 실용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질병청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 사업 △백신 임상시험 신속 대응 전략 △임상시험 검체분석기관 네트워크 △고위험군 임상 고려사항 △백신 임상 규제 지원 △감염병 백신·치료제 임상시험 네트워크 운영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됐다.
이번 설명회에서 김미영 mRNA백신개발총괄팀장은 질병관리청의 팬데믹 대비 정부의 백신 개발 지원 사업을 설명했다. LSK 나현희 본부장은 백신 임상시험의 신속 대응 전략에 대한 발표를 맡았다.
국제백신연구소 심병식 수석연구원은 생물안전 3등급 시설을 갖춘 임상시험 검체분석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설명했다. 이 네트워크에는 국립보건연구원과 국제백신연구소 등 6개 기관이 참여한다.
삼성서울병원 고재훈 교수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mRNA 백신 임상 경험과 고위험군 연구 시 고려할 점을 공유했고, 식품의약안전처 이연희 연구관은 백신 임상시험 규제 지원 사항을 소개했다. 분당서울대병원 문송미 교수는 중앙 및 권역별 감염병전문병원이 참여하는 백신·치료제 임상시험 네트워크 운영 방안을 발표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미래 팬데믹 발생 시 신속하게 백신을 개발해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사회·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