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UAE, '100년 동행' 공동선언…AI·원전·방산 협력 강화[영상]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영접나온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아부다비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한국과 UAE 100년 동행을 위한 새로운 도약'이라는 명칭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양 정상은 선언문에서 한국과 UAE가 원전 협력·아크부대 파견 등으로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왔고, 우주산업 협력을 통해서도 중요한 성과를 거둬왔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나아가 신뢰와 상호 존중, 연대 정신을 토대로 양국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불가역적인 수준으로 심화해가기로 합의했다.

산업 분야별 구체적인 협력 방안도 적시했다. 원전 산업에 있어서는 한국이 수주한 UAE 원전인 바라카 원전의 사례가 거론됐다. 양 정상은 '바라카 모델'을 확장해 글로벌 시장 공동 진출을 모색하고, '포괄적 전략 에너지 파트너십(CSEP)' 아래 인공지능(AI) 기반 원전 효율 향상 및 인력 양성 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18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한 호텔의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강훈식 비서실장의 이재명 대통령 전략경제협력 특사 성과 관련 브리핑에 이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표적 미래 산업인 AI 분야에 있어서는 AI 데이터센터 공동 구축 및 운영, '글로벌 AI 스마트 항만 프로젝트'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국방 및 방산 분야의 경우 단순한 무기 판매를 넘어 공동 개발, 기술 협력, 현지 생산 등으로 협력의 수준을 높이기로 했다.

아울러 제약, 디지털 의료기기, 재생의료 분야 공동 연구·투자 촉진을 위한 'K 메디컬 클러스터' 설립 논의를 진행하는 등의 보건의료 협력 방안도 선언문에 담았다.

교육·문화·인적 교류에 대한 논의도 포함됐다. 우선 양국은 청년 인턴십 프로그램 등으로 차세대 인재들의 교류를 확대하기로 했고, UAE를 문화·관광의 허브로 삼아 두 나라 국민의 유대를 강화해 가기로 했다. 특히 UAE 내에 K 컬처, K 푸드 등 한류 산업의 거점이 될 수 있는 'K 시티'를 조성하고 협력 사업을 적극 발굴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양 정상은 내년 UAE와 세네갈이 공동 주최하는 'UN 물 회의'를 두 나라의 물 기술·혁신 성과를 확대할 기회로 평가하고, UAE의 '모하메드 빈 자이드 워터 이니셔티브'를 언급하며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양국의 고위급 인사들은 정기적으로 소통하며 공동 프로젝트를 발굴하기로 했고, 외교부 내에도 별도의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합의 이행을 점검하기로 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