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와 부산상공회의소가 '해양수도 부산' 비전 실현을 위해 협력을 강화한다. 양 기관은 19일 세종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호텔에서 오찬 간담회를 열고 해운·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번 간담회는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계기로 지역 해양물류 현안을 해결하고 중앙정부와 지역 경제계 간 협력 채널을 공고히 하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을 비롯해 기획조정실장, 해양정책관 등 주요 간부들이 참석했고, 부산상공회의소에서는 양재생 회장과 회장단 등 10명의 기업인이 함께했다.
양측은 △해양수산부 이전 이후 기능 강화 방향 △북극항로 개척 추진 현황 △HMM 등 대형 해운기업의 부산 이전 필요성과 대응 전략 등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부산상의 회장단은 특히 HMM을 비롯한 글로벌 해운사의 부산 이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스스로 이전을 선택할 수 있을 만큼 매력적인 인센티브 패키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톤세 영구 적용, 본사 이전 시 발생하는 양도차익 과세 유예, 상속·증여세 부담 완화 등을 정부가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요청도 전달했다.
양재생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은 부산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해양수도임을 공표하는 상징적 선언이며, 글로벌 해양 허브로 나아가는 위대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오늘부터 부산경제계와 해양수산부가 새로운 협력단계로 들어선 만큼 부산이 단순한 수요자가 아니라 국가 정책의 공동 설계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지역경제계도 모든 역량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전재수 장관도 "해수부 부산 이전은 글로벌 3대 항로와 북극항로가 교차하는 해양수도 부산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을 하나의 해양수도권으로 도약시키는 새로운 국가 성장 엔진을 장착하는 출발점"이라면서, "HMM 등 해운 대기업 본사 유치와 병행해 수리조선 단지 조성, 벙커링·선용품·선박정비 산업을집적화함해 부산이 단순 환적항을 넘어 고부가가치 해양․조선 서비스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