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새만금청 안티드론 시험장 두고 '동상이몽'

군사용 드론 방어 기술 위한 실증·연구단지
전북도 새만금 관광용지 활용 구상
전북도 "10㎞ 요구 조건 충족 유일"
새만금청 전파 방사로 개발 제한 우려
새만금청 "다른 부지 찾아야" 견해차
2025년 말 새만금 MP 재수립 쟁점

폭탄을 장착한 드론을 날리고 있는 우크라이나군 아에로로즈비드카 대원들. 아에로로즈비드카 페이스북 캡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군사용 드론의 중요성이 증명되면서, 드론 공격을 방어하는 '안티드론' 기술 또한 부각되고 있다. 안티드론 기술의 국가적 수요가 있는 상황에서 전북자치도와 새만금개발청은 이 기술을 실증하는 대규모 테스트베드를 조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방해 전파를 방사하는 기술 특성상 자칫 새만금의 장기적인 개발 계획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그 구체적인 입지를 두고 양측의 입장이 조율되지 않고 있다.
 
전북도는 안티드론 테스트베드로 새만금의 부안 쪽 초입지부터 가로로 이어지는 관광레저용지(R1~R4)를 '최적지'로 꼽으며 "이곳 외에는 대체 부지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19일 밝혔다.
 
반면, 새만금청은 "주변 부지의 관광 개발이 저해된다"는 이유로 "적당한 (다른) 부지를 찾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북도의 계획대로 안티드론 실증 단지를 조성하기 위해선 관광용지를 복합개발용지로 변경해야 한다. 때문에 2025년 말까지 재수립하는 새만금 기본계획(MP)의 또 하나의 쟁점이 되고 있다.

전북자치도가 안티드론 테스트베드로 구상하고 있는 새만금 관광레저용지(R1~R4). 빨간색 동그라미. 새만금 현황도 캡처

전북도는 관광레저용지(R1~R4)에 50만 평(약 1.66㎢) 규모의 영구적인 '민·군 겸용 실증 테스트베드'와 '기업 집적단지'를 구상했다.

이는 "육·해·공 종합 시험이 필요한 안티드론 테스트베드의 10㎞ 직선거리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곳은 새만금이 유일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전북도는 지난 2024년 LIG넥스원과 R1 부지에서 임시 실증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사업 가능성을 확인했다.

전북도와 달리 새만금청은 10㎞의 광범위한 '전파 방해(재밍)'로 해당 부지에 안티드론 실증 센터가 들어올 경우, 수변도시 등 새만금 핵심 사업지의 개발이 제한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새만금청 관계자는 "'(안티드론 실증을 위한) 고정 시설은 사실상 군사시설 통제가 필요해 부적합하다'는 검토 의견을 전북도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어 "개발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실증이 아닌 투자로 가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며 "적당한 (다른) 부지를 찾아서 안티드론은 임시로 하고, 다른 미래 첨단 방위산업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전북도와 공조하겠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전북도의 계획과 상충한다.

새만금개발청 전경. 새만금청 제공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안티드론 시험 실증은 국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2025년 12월 중 새만금 개발에 저해가 되지 않는 기간까지 임시 실증을 추진할 수 있도록 상호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정부 관계부처와 드론 기업 등과 업무협약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안티드론 재밍은 레이더나 센서로 10㎞ 밖의 위협 드론을 탐지한 뒤 전파 방해를 일으키는 기술이다. 원격 조종(RC) 주파수와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는 GPS 신호를 마비시켜, 드론을 강제 착륙시키거나 복귀시킨다.
 
다만 이 기술은 민간이 사용하는 공용 주파수 대역을 표적으로 삼는다. 전파가 통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인근 항공기나 조업 중인 선박의 GPS 항법 시스템을 마비시킬 수 있다. 지난 2024년 북한의 GPS 전파 교란 공격으로 서해 어선이 조업 위치를 잃고 항로를 이탈하는 피해를 수일 동안 입었다.

전북특별자치도청 전경. 전북도 제공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