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은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에 원활히 대응하기 위해 상황실을 설치해 긴급 사안 발생할 경우 적시에 대응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교육부는 "급식, 돌봄, 특수교육 등에 대해서는 지역·학교별 여건 등을 고려한 자체 방안을 마련해 학생들의 학습권·건강권이 보호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급식은 학교별로 탄력적으로 식단 조정 및 대체식을 제공하고, 돌봄은 대체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파업 당일 돌봄·교육이 정상 운영되도록 하며, 특수교육은 단축수업과 같은 탄력적인 교육활동을 하도록 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지난 8월부터 교육당국과 2025년 집단임금교섭을 진행했지만 노사 간 입장 차이로 이달 20~21일, 다음 달 4~5일 릴레이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연대회의는 민주노총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로 구성됐으며, 지난 4월 기준으로 교육공무직원 17만 5천여명 중 약 9만 4천명이 가입해 있다.
이달 20일에는 서울·인천·강원·충북·세종 노동자들이, 21일에는 광주·전남·전북·제주 노동자들이 파업한다. 다음 달 4일에는 경기·대전·충남이, 5일에는 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이 파업을 벌인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지난해 12월 6일에도 하루 동안 총파업을 벌인 바 있다. 당시 전체 교육공무직 17만5천여명의 15%인 2만 6천여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이에 따라 전국 급식 대상 학교의 30.7%인 3910개교에는 급식이 제공되지 않아 빵과 우유 등을 대신 제공하거나 도시락을 가져오게 했다. 돌봄 프로그램도 차질이 빚어졌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노동조합의 단체행동권을 존중하나, 학생들의 교육활동과 건강을 보호하고 학부모님들의 불편이 없도록 노사협의를 통해 합리적인 합의점을 조속히 찾기를 기대한다"며 "안정적인 학교 운영에 만전을 기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