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충렬사 재정비 종합연구용역이 착수보고회와 설명회를 이원화해 진행하면서 '절차 불투명' 논란이 제기됐다. 부산시의회 서국보 의원은 "충렬사는 부산의 정체성이 깃든 상징적 공간인 만큼 모든 과정이 시민에게 공개돼야 한다"며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
착수보고회·설명회 왜 나눠 했나
서국보 의원은 최근 열린 충렬사 재정비 종합연구용역 설명회에서, 지난달 30일 진행된 착수보고회가 충렬사 관리사무소 직원과 용역사, 외부전문가 3명만 참석한 채 비공개로 추진됐다고 지적했다.같은 용역을 두 차례로 나눠 진행한 이유가 명확하지 않고, 착수보고회 자체를 시민에게 알리지 않은 점은 절차적 투명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이다.
부산시 문화국은 "법정 기한을 맞추기 위해 급히 착수보고회를 진행한 탓에 이런 상황이 발생했다"며 향후 의견수렴을 충분히 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 선정 공정성도 논란
서 의원은 착수보고회 외부전문가 선정이 용역사와 연관된 단체 중심으로 이뤄졌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그는 "충렬사는 모든 시민이 공유하는 역사 공간인데 용역사의 방향성을 지지하는 인사들이 중심이 된다면 공정성에 의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며 시민·전문가·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구조로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정비 방향 추가 제안
서 의원은 연구용역의 방향을 보완하기 위해 구체적인 개선 과제도 제시했다.그는 충렬사의 역사성과 공간적 가치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안락서원 복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고, 주변 지역의 고도제한을 합리적으로 완화해 열린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동약자를 위한 편의시설 확충과 주차 공간 확보 등 접근성을 높이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야간조명을 활용해 충렬사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제시하며, 전체 재정비가 단순한 시설 개선을 넘어 시민이 체감하는 공간 혁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