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가 18일(현지시간) 대미 투자금액을 1조달러(약 1천460조원)로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는 이날 백악관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갖고 이같은 계획을 공식화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재집권 후 첫 해외 순방지로 사우디아라비아를 찾아 6천억 달러 규모 투자 합의를 이끌어낸 바 있다.
여기다 빈 살만 왕세자는 이번 방미 계기에 4천억달러를 더 얹은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 왕세자에게 "당신과 친구가 된 것은 큰 영광"이라며 "이제 1조달러에 이르는 대미 투자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아랍국가 간 국교를 정상화하기 위한 '아브라함 협정'에 사우디가 참여할지에 대해서도 빈 살만 왕세자와 긍정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덧붙였다.
다만 사우디와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과 관련해 찬반이 뚜렷이 갈리고 있어, 현재로선 이스라엘과 사우디 간 국교 정상화를 위한 아브라함 협정 확대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이날 취재진들은 사우디 반정부 언론인 카슈끄지 암살 사건과 관련한 질문을 던졌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은 그 일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며 "손님을 당황하게 하는 질문을 하지 말라"고 선을 긋기도 했다.
앞서 바이든 정부 시절 미 정보당국은 빈 살만 왕세자를 카슈끄지 암살의 배후로 판단한 바 있다.
빈 살만 왕세자는 해당 사건에 대해 "그 사건의 주된 목적은 미국과 사우디 관계를 무너뜨리는 것이고, 그 이야기를 믿는 사람은 오사바 빈 라덴을 돕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우리는 그 사건에 대해 적절한 조사를 진행했고, 재발되지 않도록 시스템을 개선했다"고 답했다.
한편 트럼프 일가가 사우디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는 것이 '이해충돌 소지가 있지 않느냐'는 지적에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가족 사업과 아무 관련이 없다"며 "가족들은 세계 곳곳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두 아들이 이끄는 트럼프 그룹은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 트럼프 브랜드로 부동산 건설을 계획 중이다. 아울러 빈 살만 왕세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맏사위인 재러드 쿠슈너의 사업 파트너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