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가 가야할 길… "정부, 관리자에서 조성자로 역할 바꿔야"

한국정보처리학회,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공동 주최 AI 세미나 개최

연합뉴스

한국정보처리학회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디지털포용미래위원회가 오는 19일 오후 3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열린관 대강당에서 '대한민국 AI가 가야 할 길 – AX2.0 시대, 혁신생태계와 인재양성의 新패러다임' 세미나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AI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국내 AI 정책·생태계·인재 양성 전략의 근본적인 전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번째 발표에서 김진홍 ICT 르네상스위원회 위원장은 한국 AI 산업이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며, 정부의 정책 패러다임을 "시장관리자(Market Fixer)에서 시장조성자(Market Creator)"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 위원장은 한국 AI 생태계의 핵심 문제로 △글로벌 대비 부족한 민간 투자 규모 △B·C 시리즈로 이어지는 스케일업 투자 생태계 부재 △우수 인재의 해외 유출 등을 꼽았다.

"규제 중심의 수비형 정부에서 벗어나, 자본·데이터·인프라·실험 환경을 적극적으로 만드는 공격형 플레이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김 위원장의 주장이다.

또한 AI 성과를 국민에게 배분하는 '국민주 배분제'와 창업 초기부터 세계 시장을 목표로 하는 '본 글로벌(Born Global)' 전략을 제안한다.

이어 홍진배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원장은 생성형 AI(AX1.0)를 넘어 실제 세계에서 판단·행동하는 AX2.0 시대가 도래했다고 분석하며, AI 반도체·양자컴퓨팅·사이버보안 등 6대 기술 분야의 기술 주권 확보를 강조할 예정이다.

휴머노이드·AI 제조 등 '피지컬 AI' 산업 육성과 함께, 글로벌 연계 인재 양성과 S급 연구자 확보 전략도 제시한다.

이번 세미나는 △정부 역할의 근본적 재설정(시장조성자 모델) △AI 성과의 사회적 공유를 위한 국민주 배분제 △내수 한계를 뛰어넘는 본 글로벌 전략 등 한국 AI 정책 방향에 대한 새로운 청사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