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쉐린엔 2억, 국밥엔 2천만원"…부산시 관광공사 '세금 배분' 도마 위

부산관광공사를 상대로 행정사무감사 질의를 하고 있는 김효정(오른쪽) 의원. 부산시의회 제공

부산시가 글로벌 미식도시 이미지를 키운다며 추진한 각종 미식관광 사업이 '그들만의 잔치'였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고급 와인바 네트워크 행사부터 미쉐린 식당 중심의 초대형 만찬까지, 시민 세금이 다수 소상공인이 아닌 일부 유명 식당과 해외 관계자에게 집중됐다는 지적이다.

부산관광공사가 미식관광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시민 세금 8억 원 이상을 미쉐린 연계 행사 등에 집중 투입한 것으로 드러나 거센 논란이 일고 있다.

김효정 부산시의원(북구 덕천·만덕)은 최근 열린 부산관광공사 행정사무감사에서 "대다수 소상공인과 시민의 현실은 외면한 채, 일부 고급 식당과 해외 인사들만을 위한 사업이 반복됐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와인바 팸투어까지… "시민 세금 맞나"


김 의원은 지난 3월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A50BR) 관계자 초청 팸투어 일정에 '고급 와인바 교류 행사'가 포함된 사실을 문제 삼았다.

그는 "시민 참여조차 없는 행사에서 세금으로 와인바 네트워크를 운영한 것이 과연 부산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지 의문"이라며 "임대료와 물가에 허덕이는 자영업자들의 현실과는 지나치게 괴리돼 있다"고 지적했다.

60명 행사에 2억… 로컬푸드 예산은 '2천만 원'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공사는 지난 4월 '부산 셰프의 날(GASTRO DOMO)' 행사에 60여 명 규모의 만찬을 위해 2억 원 가량의 예산을 투입했다.

김 의원은 "이미 미쉐린 선정으로 충분한 브랜드 힘을 가진 식당 관계자를 또다시 세금으로 축하하는 자리가 왜 필요한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반면 돼지국밥·밀면 등 부산 대표 로컬푸드를 위한 예산은 '2천만 원짜리 가이드북 제작'이 전부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부산만의 맛을 찾고 싶은 관광객은 노포와 골목 맛집을 원한다"며 "지역 상권과 상생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