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반도체·배터리 등 소부장 기업에 1200억 투자지원

스마트이미지 제공

정부가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 등 국가 전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에 총 1200억원 규모의 투자 지원을 추진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핵심 품목의 국내 생산기반을 강화해 민간 투자 확대를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산업통상부는 18일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 기술소위원회를 열고, 올해 접수된 62건의 투자계획 가운데 서류 심사와 발표 평가를 거쳐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디스플레이 등 4개 업종을 지원 대상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총 1211억원의 투자지원금이 해당 기업들에 배정된다.
 
올해 투자지원금은 국비 700억원과 지방비를 포함한 규모로, 최종 선정된 기업은 솔브레인(반도체 소재), 주성엔지니어링(반도체 장비), 동화일렉트로라이트(배터리 전해액), 아미코젠(바이오 배지) 등을 포함한 21개사다.
 
'투자지원금 사업'은 올해 신설된 제도로, 첨단산업의 국내 투자 유인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심사 과정에서는 △특정국 의존도 △국내 경제·산업 파급력 △안보적 중요성 등을 소재부품장비산업법 기준에 따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대외무역법상 국제평화·안보 유지를 위해 지정된 전략 품목을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이 대상이다.
 
산업통상부 제공

선정된 기업들은 신규 생산시설 구축이나 기술개발 인프라 확충에 투입되는 비용의 30~50%를 보조받게 되며, 기업당 지원 한도는 최대 200억원이다.
 
박동일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글로벌 공급망 주도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만큼, 정부의 투자지원금이 핵심 소부장 품목의 국산화를 촉진하고 국내 생산 생태계를 두텁게 만드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국내 첨단산업 기반이 흔들리지 않도록 소부장 분야 지원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내년부터 로봇·방산 분야를 추가해 총 6개 업종으로 지원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며, 관련 예산으로 1천억 원 규모의 국비 편성을 추진 중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