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 차세대 한류문화의 전략적 핵심 거점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주시는 2500억원을 투입해 'K-문화콘텐츠 테크타운'을 조성하고, 수도권에 집중된 콘텐츠산업 기반을 지역으로 분산하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광주광역시는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K-문화콘텐츠 테크타운 조성 국회토론회'를 열어 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토론회는 정진욱 국회의원(광주 동남갑)이 주최하고 광주시와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광주 K-문화콘텐츠 테크타운'의 필요성과 지역 파급효과에 깊이 공감했다. 사업은 총 2500억원 규모로, 복합지식산업센터 건립과 인재양성 캠퍼스 운영, 콘텐츠 성장 펀드 조성, 기업 육성 프로그램 운영 등을 담고 있다. 인재·기업·기술·문화가 공존하는 융합 생태계를 구축해 광주를 차세대 한류문화 전진기지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이 사업은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인 '아시아문화중심도시 3.0·아시아 콘텐츠 허브 조성'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제시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실감콘텐츠큐브, 국가AI데이터센터와 연계해 제작·실증·사업화가 가능한 콘텐츠 생태계를 완성하는 것이 목표다.
발제에서 백창기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단장은 "AI기술이 콘텐츠 창작 방식 자체를 바꾸고 있다"며 "광주는 기술 중심 콘텐츠 융합 실증도시로서 성장 기반을 이미 갖췄다"고 말했다. 이어 "K-콘텐츠 테크타운과 함께 광주는 'AI콘텐츠 허브 도시'로 도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은규 ㈜상화 부사장과 송재원 ㈜덱스터스튜디오 소장도 기술 융합 사례를 소개하며 창작환경 혁신이 콘텐츠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송 소장은 "광주는 AI콘텐츠 전문 인력을 양성할 기반이 준비돼 있다"며 "테크타운 조성이 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욱 의원은 "토론회에서 모인 지혜를 바탕으로 아특법 목표를 이행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광주시 김영문 문화경제부시장은 "광주가 '창의적 문화국가 실현'을 선도하길 바란다"며 "논의된 제언을 바탕으로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