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핵융합 첨단인프라 경주 유치를 위해 경상북도와 경주시가 팔을 걷어붙였다.
경북도는 17일 경주시청 대회의실에서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경주 유치를 위한 핵융합 전문가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핵융합 첨단 인프라의 성공적인 경주 유치를 위한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유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회의에는 포스텍과 한동대 등 지역 핵융합 관련 주요 대학을 비롯해 원자력연구원과 재료연구원, 경북연구원 등 국내 핵융합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포스텍과 한동대는 핵융합 실현을 위한 8대 핵심기술 중 하나인 노심 플라즈마 제어, 혁신형 디버터 등 주요 연구를 수행하면서 핵융합에너지 관련 전문 연구 인력을 배출하고 있는 핵융합 기술개발 핵심 연구기관이다.
앞서 경주시는 지난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 중인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 사업 부지 공모에 유치신청서를 제출했다.
신청 대상부지는 경주시 감포읍 문무대왕과학연구소 2단계 부지 내 약 51만㎡ 규모이다. 현재 산업단지로 계획된 부지 특성상 연구시설 건립과 공사 착공이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는 강점을 갖고 있다.
특히 2026년 완공 예정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인근에 대규모 핵융합 연구시설이 들어설 경우 관련 연구시설 집적으로 인한 연구인력 확보, 장비활용, 네크워크 형성 등 상승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경주는 소형모듈원자로(SMR) 연구와 제작지원, 국가산업단지 조성 등을 통해 핵융합 기술 개발과 관련한 기반을 갖추고 있는 만큼 핵융합 핵심 거점으로 도약할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원전과 방폐장이 위치해 있고 삼중수소를 원료로 하는 핵융합에 대한 주민수용성이 확보돼 있어 시설 조성에 대한 강점을 갖고 있다.
또 포항, 울산, 부산과 인접해 핵융합 연구개발부터 산업화와 핵융합 상용시설 건설을 위한 지리적 이점도 있다.
경북도는 이번 전략회의를 계기로 실무 현장조사와 발표평가 등 남은 공모 일정에 총력을 다해 대응하고, 관내 핵융합 관련 기관들과 협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경주는 국가 에너지 전환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핵융합 연구개발과 상용화의 최적지인 만큼 반드시 유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는 원자력 관련 핵심 시설과 연구 인프라가 집적된 국내 유일의 도시인 만큼, 반드시 연구시설을 유치해 국가 미래 에너지전략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