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가 17일 소상공인 '진짜 성장'을 위한 '소상공인 성장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온라인·디지털화 등 급격한 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해 소상공인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정책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상희 민주연구원 정책연구실장은 주제 발표에서 "온라인 등 시장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규모화·스마트화를 병행 추진하고 로컬·생활서비스 혁신을 포함한 종합적인 성장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위평량 위평량경제사회연구소 소장은 '수도권 위주의 디지털 AI(인공지능) 인프라 중심 정책 지양' 등 수도권과 지방 간 소상공인 디지털 수준 격차 극복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는 소상공인 업계를 대표해 손성원 중기중앙회 소상공인정책실장과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개발본부장, 곽노준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본부장이 참여했다. 손성원 실장은 "맞춤식 스마트공장 지원 등을 통해 소공인이 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소상공인 업종별 차등 지원을 통해 정책 실효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차남수 본부장은 "소상공인을 생계형과 안정형, 성장형, 기업형으로 구분해 해당 유형에 맞춘 맞춤형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세밀한 DX(디지털 전환) 활용 정책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곽노준 본부장은 "정부 지원을 소상공인이 스스로 혁신할 수 있는 전략적 공간(시간·자금·지식)을 확보해 주는 성장 동력 확보형 지원 모델로 혁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기중앙회 추문갑 경제정책본부장은 "내수 침체 지속에 인구 감소에 따른 구조적 문제까지 겹치면서 소상공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온라인·디지털화하는 시장 특성을 고려한 업종별 맞춤형 성장 정책으로 전환이 절실하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