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SK오션플랜트 매각 중대 사안, 자금조달·사업능력 검증 안돼"

경남도, 고성군 SK오션플랜트 매각 강력 반대
사업시행자 변경하면 철저한 검증 등 행정 대응
SK그룹에 "사회적 책임 다하라" 촉구

경남도 김명주 경제부지사 브리핑. 경남도청 제공

경상남도가 고성군 기회발전특구에 자리 잡은 SK오션플랜트의 매각 추진을 재차 반대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SK그룹에 촉구했다.

경남도 김명주 경제부지사는 17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매각 사안은 단순한 기업 간 거래가 아닌, 지역 조선산업 경쟁력과 해상풍력이라는 우리나라 미래성장 동력 산업 발전과 직결된 중대 사안"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모기업이자 최대 주주인 SK에코플랜트가 지분 37.6%를 사모펀드 금융투자자인 디오션자산운용 컨소시엄에 매각 추진한다는 사실이 전해지면서 사업 지연·축소, 고용 불안 등을 우려하며 지역 사회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김 부지사는 이번 매각 추진이 지역 경제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심각하게 우려했다. 그는 "자금 조달 능력과 사업 수행 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사모펀드에 매각되면 고성 해상풍력 기회발전특구 조성 사업 지연·표류할 가능성이 있고, 해상풍력 기자재 시장의 외국기업 독차지, 고용 불안, 지역 경제가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현재 고성 해상풍력 기회발전특구 조성사업의 공정률은 60%. 경남도는 SK오션플랜트의 사모펀드 매각이 현실화된다면 신규 사업시행자의 자금조달 계획과 사업수행 능력을 철저하게 검증한다는 방침이다. 사모펀드가 사업시행자를 변경하려면 산업입지·개발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지방산업단지심의위원회 심의·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 SK오션플랜트가 방산업체로 지정된 만큼 매각 지분 양도 때 방위사업법에 따라 신규 투자사가 방산업체 지정을 산업부 등에 신청해야 한다. 이에 도는 신규 투자사의 방산 사업 능력에 대한 철저한 검증도 산업부와 방사청에 요청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는 안정적인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수주를 지원하고자 국산기자재 사용의무화 제도 도입이 담긴 해상풍력발전법 개정도 추진할 예정이다.

김 부지사는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생산력을 보유한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제조업체인 SK오션플랜트가 매각되면 외국기업이 해상풍력 기자재 시장을 독차지할 가능성이 높아 국가 에너지 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며 "SK그룹은 3년 전 인수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와 사회적 책임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모회사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022년 고성의 삼강엠엔티를 인수했다. 다음 해 삼강엠엔티의 사명을 SK오션플랜트로 바꾸고 해상풍력 분야 사업을 확장했다.

SK오션플랜트는 2023년 해상풍력 구조물 특화 생산기지를 건설하고자 장기간 표류 중이던 고성조선해양산업특구였던 고성 양촌·용정일반산단에 1조 원 규모의 투자를 확정하고 3600명의 신규 고용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경남 1호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받아냈다.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생산 기지로는 세계 최대 규모로 조성할 계획으로, 경남도와 고성군은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해상풍력 특화 생산기지 조감도. 경남도청 제공

지난해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비롯해 수산자원보호구역 해제·산지전용 허가 등 각종 규제 특례 적용, 국도 77호선 확·포장과 산단 진입도로 개설 등 기반시설 확충, 일자리 연계형 지원 주택사업 등을 지원했다.

이런 적극적인 지원을 하는데도 인수 3년 만에 매각이 추진되면서 여야를 떠나 지역사회 전체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9월 1일 SK오션플랜트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디오션자산운용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공시했다. 그러다 지난달 27일 디오션컨소시엄과의 우선협상대상자 기간을 4주 연장했다고 공시했다.

SK오션플랜트는 720여 명의 직고용, 협력업체 직원 수가 2천여 명(30여 업체)에 달하는 고성군에서 가장 큰 사업장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