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이 동쪽을 하늘 방향으로 삼는 '뒤집힌 한반도 지도'(East-Up Map)를 주한미군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그 취지에 대한 장문의 글을 올려 관심이 모아진다.
브런슨 사령관은 17일 주한미군 홈페이지에 '동쪽이 위인 지도: 인도태평양지역의 숨겨진 전략적 이점 드러내기'란 제목의 글과 함께 해당 지도를 게재했다.
그는 '지도를 보는 관점의 단순한 변화가 어떻게 전략적 이해와 전투 공간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가'라는 부제를 통해 지도의 방향 배치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가 크게 달라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동쪽을 위로 하는 지도의 접근법은 전통적 지도(북쪽이 위) 방식에선 가려져 있던 인도태평양에서의 (미국과 동맹국의) 전략적 관계와 우위를 드러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새로운 지도 접근법은 한반도 주둔 미군의 가치와 한국-일본-필리핀 전략적 삼각틀의 중요성을 동시에 명확하게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그는 "관점의 전환은 한국이 자연스러운 전략적 축으로서의 역할을 부각시킨다"면서 캠프 험프리스(주한미군 평택기지)에서 평양은 255km, 베이징은 985km, 블라디보스톡은 691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주한미군 홈페이지에 실린 새 한반도 지도는 남동쪽을 위 방향으로 함으로써 태평양이 상부에 아시아 대륙은 하단에 위치했다. 방향만 바꾼 것이어서 평택기지에서 주변국 주요 도시 간 거리가 달라지진 않지만, 일부 시각적인 인식 전환 효과가 예상된다.
브런슨 사령관의 견해에 따르면, 전통적 지도의 관점에서 인도태평양은 흩어진 섬 등으로 이뤄진 광활한 지역으로 미 본토에서 엄청난 거리를 가로질러 군사력을 보내야 할 지리적 난점이었다.
하지만 새 지도의 관점에선 전략적 구도가 극적으로 바뀌어 "한반도에 이미 배치된 군대는 보강이 필요한 원거리 자산이 아니라, 위기나 비상사태 시 미국이 돌파해야 할 방어권 내부에 이미 포진된 병력"이 된다는 것이다.
그는 "태평양의 광대한 크기는 작전적 어려움을 제공하지만, 이는 또한 역내에 이미 배치된 병력에 대해서는 기회를 창출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그는 "동북아시아 지도 분석에서 도출된 가장 중요한 통찰은 한국, 일본, 필리핀을 연결하는 전략적 삼각틀의 부상"이라고 밝혀 미국의 대중국 압박 전략을 재확인했다.
그는 "이 삼각 구조는 각 꼭짓점을 가로지르는 상호 보완적 역량을 제공한다"면서 "한국은 지역안보 구조 내 전략적 깊이와 중심적 위치를 제공하고 러시아와 중국 군대에 대한 비용 부과 능력이라는 추가적 이점을 지닌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은 첨단 기술 역량을 기여하고 태평양 해상 수송로에 위치한 핵심 해상 요충지를 통제"하며 "필리핀은 남부 접근과 태평양 및 인도양을 연결하는 주요 해상로에 대한 통제권을 제공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전략적 삼각관계 프레임워크는 동맹국 간 부담 분담 강화와 역량 개발 조정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며 "미국은 개별 양자 관계를 유지하기보다 각 동맹국의 지리적 이점과 상호보완적 역량을 활용하는 3자협력을 촉진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브런슨 사령관은 "가끔 가장 심오한 전략적 통찰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의 가장 단순한 변화에서 비롯된다"면서 "동쪽을 위로 한 지도는 그런 변화 중 하나로서, 지리적 도전을 가까움의 이점으로 전환하고 인도태평양에서 동맹 협력의 숨겨진 기하학적 구조를 드러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