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스터디,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 144점…지난해보다 5점↑"

사진공동취재단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의 표준점수가 지난해에 비해 5점가량 오를 것이라는 입시업계의 관측이 나왔다.
 
메가스터디는 "70만여 건의 메가스터디교육 채점 서비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이 '화법과 작문'은 141점, '언어와 매체'는 144점으로 예상된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화법과 작문'이 136점, '언어와 매체'가 139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각각 5점씩 오른 수치다.
 
표준점수는 시험의 난이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올라가고, 시험이 쉬우면 내려간다. 통상적으로 표준점수 최고점이 140점대 후반 이상이면 '불수능'으로 분류된다.
 
국어에서 정답률 60% 이하 문항은 지난해에는 총 6문항이었지만, 올해는 11문항으로 5문항 늘었다.
 
반면 수학의 경우 정답률 60% 이하 문항은 지난해 17문항에서 올해 13문항으로 4문항 줄었다.
 
다만 수학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지난해 140점에서 올해 142점으로 상승했는데, 이는 최상위권을 가르는 정답률 20% 이하의 문항이 지난해 3문항에서 올해 6문항으로 2배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탐구영역의 경우, 정답률 60% 이하 문항 수는 지난해 46개로 사회탐구와 과학탐구가 동일했다. 그런데 올해는 사탐은 56문항으로 10문항이나 증가한 반면, 과탐은 40문항으로 6문항이 감소했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사탐이 71~73점, 과탐은 69~71점 수준에서 형성돼 사탐 응시자가 다소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메가스터디는 분석했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국어와 수학은 지난해보다 변별력이 확보됐고 사회탐구도 변별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지난해보다 최상위권 학생의 정시 지원 전략 수립은 다소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수학보다 국어에서 변별력이 더 확보됐기 때문에 최상위권에서 국어의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보이므로 정시모집에 대비하는 수험생들은 자기 성적을 면밀하게 분석해 지원 전략을 철저하게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