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가 강바닥에 걸려 멈춘 사고가 발생하자 여권은 운항 중단을 촉구하며 오세훈 서울시장을 향한 전방위 압박을 펼쳤다. 오 시장은 이를 정치 공세로 규정했고 국민의힘도 엄호에 나섰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사고 이튿날인 16일 페이스북에 관련 언론 보도를 공유하며 "안전 행정보다 더 중요한 행정은 없다"고 언급했다.
당내 오세훈 시정실패 정상화 태스크포스(TF)'와 서울시당 '새서울 준비 특별위원회(특위)'는 국회 기자회견에서 "서울시는 지금 즉시 한강버스 운항을 전면 중단하고 사업 전반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TF 단장인 천준호 의원은 "지금의 상황을 우려스럽게 생각하는 이유는 서울시가 사고 관련 내용을 투명하게 실시간 공개하거나 대응 방안을 찾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며 "서울시는 한강버스 사고와 수리 내역이 또 있는지 다시 한번 시민에게 공개하고 어떻게 대응했는지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서울 특위 위원장인 박주민 의원은 "한강버스 사고가 지금까지 총 16번 있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세훈 시장은 무리하게 한강버스를 계속 운영하고 있다. 시민이 다치거나 죽어야 멈출거냐"고 말했다. 박 의원은 서울시장 당내 경선 출마를 준비 중이다.
당내 또다른 후보군인 전현희 최고위원은 "혈세낭비 졸속 전시행정 한강버스는 서울시민의 두통거리로 전락했다"고 비판했고, 서영교 의원은 "서울시민을 안전조치 없이 위험으로 내몰고 있는 오 시장을 규탄한다"며 오 시장의 대국민 사과와 사퇴를 촉구했다.
박홍근·김영배 의원은 '하인리히 법칙'(대형사고 발생 전 관련된 경미한 사고와 징후들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을 밝힌 법칙)을 거론하며 각각 "오 시장의 전시행정 야욕이 재난의 문을 열고 있다", "각종 사고 소식은 대형사고 1건을 향한 전조증상이자 경고등"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한강버스 운항 안전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서울시와 행정안전부 등에 한강버스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라고 지시했다.
반면 오세훈 시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주말에 한강버스를 이용하신 시민들께 큰 불편을 끼쳐 송구하다"면서도 "안전 문제를 정치 공세 도구로 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맞받았다.
국민의힘에서도 소속 광역단체장인 오 시장을 감쌌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16일 기자간담회에서 "사고 원인을 파악하고 점검해서 개선안을 내는 것이 정상적인 길일 텐데 계속해서 비판하고 문제 제기만 하고 있다"며 여권의 비판을 반박했다.
이어 "특히 김민석 총리가 강하게 얘기하는 것 자체가 어떻게 보면 일종의 선거개입"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사고는 전날 밤 8시 25분쯤 잠실선착장 100m 인근에서 발생했다.
서울시는 선장의 사고보고서, 선박 CCTV 등을 종합 검토한 결과 "직접 원인은 항로를 벗어나 얕은 구간에 진입한 것"이라며 그 배경에 항로 표시등의 밝기 부족이 있었다고 잠정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