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14년 동안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표본 6만 1천가구를 방문해 면담조사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는 중간값 기준으로 13.9배다. 즉 지난해 기준으로 14년 동안 월급을 고스란히 모아야 서울에 집을 살 수 있는 것이다.
PIR은 서울에 이어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등 순으로 집계됐다.
또 지난해 '전국 임차 가구의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중(임차 가구 PIR)'은 중간값 기준으로 15.8%다. 즉 전월세 세입자는 월 소득의 약 16%를 임대료로 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8.4%, 광역시가 15.2%, 도(道) 지역이 12.7%다. 모두 전년(각각 20.3%·15.3%·13%) 대비 감소했다.
실제 거주 여부와 무관하게 자기 집을 가진 가구 비율(자가 보유율)은 지난해 전국 61.4%로 전년(60.7%)보다 높아졌다. 자기 집에서 거주하는 자가점유율도 전국 58.5%로 전년(57.4%)보다 상승했다.
청년 가구는 82.6%가 임차로 거주했다. 오피스텔을 포함한 비주택 거주 비율은 17.9%로 나타났다. 신혼부부는 43.9%가 자가에서 거주했고, 대부분이 아파트(73.4%)다.
한편 주택을 보유해야 한다는 응답은 86.8%에 달했다. 다만 전년 87.3%보다 비율은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