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오는 17일(현지시간) 표결한다고 AFP 통신이 15일 보도했다.
미국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 구상을 뒷받침할 내용을 담은 안보리 결의안 초안을 지난주 안보리 이사국에 공유하고 공식 협상에 착수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는 휴전 합의의 후속 조치와 가자지구 내 다국적군 주둔 계획 등이 포함돼 있다.
AFP가 지난 13일 확인한 결의안 초안에 따르면, 안보리는 '가자지구의 과도 통치기구인 평화위원회의 설립을 환영'하고, '임시 국제안정화군'(ISF)을 구성할 권한을 갖는다. 평화위 수장은 2027년 말까지 트럼프 대통령이 맡는다는 게 미국의 구상이다.
ISF는 이스라엘, 이집트, 새로 훈련받은 팔레스타인 경찰과 협력해 가자 접경 지역의 안보를 강화하고 가자 내 비무장화를 지원한다. 이전과 달리 미래의 팔레스타인 국가에 대한 언급도 초안에 담겼다고 AFP는 전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미국이 결의안 협상 과정에서 수정안을 쉴 새 없이 주고받으며, 최근 일주일 내내 미국과 유럽, 유일한 아랍국 알제리 등 14개 이사국 사이에 긴장감이 고조돼 왔다고 전했다.
다만 상임이사국 러시아가 별도의 가자지구 결의안을 추진하고 있어 결의안 통과의 변수로 꼽힌다. 러시아는 가자 평화위 창설이나 ISF의 즉각적인 배치를 승인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결의안 초안을 최근 이사국에 회람했다.
러시아의 초안은 '휴전으로 이어진 이니셔티브'를 환영한다고 밝혔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또 팔레스타인의 국가 지위를 요구하고, 유엔 사무총장에게는 ISF 배치 관련 보고서의 신속한 제출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다.
러시아 유엔 대표부는 성명에서 "안보리 결의안은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국제법 체계를 반영하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해결을 위한 두국가 해법이라는 원칙을 재확인해야 한다"며 "안타깝게도 이런 조항들은 미국 초안에서 제대로 고려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대한 안보리의 지지를 얻으려는 미국의 노력이 러시아가 자체적인 반대 결의안을 제출하면서 큰 난관에 부딪혔다고 전했다. 안보리 거부권을 가진 러시아는 미국의 결의안을 무산시킬 수 있다. 역시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 중국도 미국과 안보리에 러시아의 입장과 일치한다고 통보했다고 NYT는 익명의 외교관들을 인용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