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문형 버스 도입과 섬식 정류장 설치가 핵심인 제주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을 놓고 도의회에서 공방이 벌어졌다.
교통정체가 심화됐다는 제주도의원의 지적에 버스 운행속도가 빨라졌다는 오영훈 도정의 답변이 맞섰다.
14일 열린 제주도의회 제444회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정민구 의원(민주당, 제주시 삼도1.2동)은 제주시 서광로에 구축된 BRT의 섬식정류장 정책으로 교통흐름이 개선되기는 커녕 오히려 정체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버스 기사들도 진입 위험을 호소하고 있고, 보행자들은 도로 한가운데를 건너야 하는 불안을 겪고 있다며 드러난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 지, 문제 해결을 위한 재검토나 재설계 계획이 있는 지를 물었다.
정 의원은 또 도민들은 행정의 실수를 비난하기보다 진심 어린 반성과 책임 있는 개선을 원하고 있다며 정책 실패로 남길지, 도민과 함께 다시 설계하는 교통혁신의 출발점으로 만들지는 지금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정책 결정권자로서 책임 있는 결단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오영훈 제주지사는 BRT 구축으로 버스의 속도가 빨라졌다는 평가가 있다고 반박했다,
오 지사는 취임하기 전 이미 서광로 BRT 사업이 확정돼 집행되고 있었는데 당시에는 섬식 정류장이 아닌 상대식 정류장을 설치해야 해 가로수도 베고 인도폭도 좁아질 때였다고 설명했다.
오 지사는 이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고 저도 공감해 보류를 한 뒤 국토부와 협의를 거쳐 섬식 정류장으로 설계변경을 했다며 다만 양문형 버스와 섬식 정류장을 도입하면 문제가 없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서광로는 시외버스 터미널이 있어 시외버스가 많이 다닌다는 점을 간과했다고 말했다.
시외버스는 양문형 버스가 아니어서 결과적으로 서광로 구간에서도 중앙차로가 아닌 가변차로를 이용해야 하는 혼잡함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오영훈 지사는 양문형 버스의 경우 저상버스가 아니어서 양문형으로 교체하는데 시간과 투자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을 놓쳤고 광양사거리의 경우 버스가 1차로에서 우회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며 그래서 동광로 BRT 구축 사업을 보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 지사는 자가용 이용자들의 불편까지 보완하겠다며 절차상 설명이 부족했던 점에 대해서는 도민에게 양해의 말씀을 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