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부지검 '세관 마약수사 외압 의혹' 합동수사팀에 파견된 백해룡 경정이 당시 대통령실과 경찰지휘부의 마약수사 외압과 수사 방해 혐의도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백 경정은 14일 오전 직접 작성한 보도자료를 내고 '백해룡팀이 다룰 사건 범위'로 "(당시) 대통령실·경찰지휘부가 마약수사에 외압을 가하고 수사를 방해한 혐의"를 명시했다.
이에 대해 백 경정은 "2023년 10월 10일 서울 영등포경찰서 마약수사전담팀(백해룡 수사팀)을 적극 지원했던 서울남부지검 특수부를 해체하고, 특수부 소관이던 마약사무를 형사3부로 졸속 이전시킨 경위와 관련자 등에 대한 수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임은정 동부지검장은 백 경정이 고발한 외압 의혹을 '셀프 수사'하는 것은 공정성 문제가 있다며 수사 대상에서 제외한 바 있다.
백 경정은 보도자료에서 사건 경과, 다룰 사건 범위, 취지 등 항목 외에도 '합동수사단의 정체', '수감자 불러내 진술 번복', '검찰은 왜 묻지 않았을까' 등 제목의 글을 담으며 검찰을 향해 거세게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합수단이 수감 중인 말레이시아 조직원들의 진술을 번복시키려고 했고, 공범에게 보내는 이상한 편지까지 만들어냈다"며 "이러한 수사방법은 위법을 면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추후 이 대목도 수사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겨냥해 말했다.
앞서 백 경정의 파견 기간은 다음 해 1월 14일까지로 연장됐다. 애초 파견이 이날로 종료였는데, 연장된 것이다. 이에 대해 백 경정은 "2개월 파견기간 연장과 수사관을 최소 15명으로 충원해줄 것을 요청했다"며 "전날 경찰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킥스) 사용권한이 부여됐으므로 조만간 사건번호를 생성해 수사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동부지검 관계자는 백 경정 보도자료에 대해 "사전 협의된 보도자료가 아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