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고령화 심화와 필수의료 붕괴 조짐 속에서 수도권 원정진료가 급증하고 독감까지 조기 유행하면서 지역 공공보건 대응체계가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성현달 부산시의원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 대책 없이는 의료 신뢰를 회복할 수 없다"고 강하게 주문했다.
필수의료 기피 심화… "부산 의료체계 부담 가중"
성현달 의원은 13일 부산시의회 시민건강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역 공공보건 전반을 점검하며 의료공백의 심각성을 강조했다.그는 부산의 높은 고령화율을 지적하며 "노인 환자 증가로 중증 질환 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지역 의료체계의 부담 역시 계속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필수 진료과 기피, 특정 진료과 쏠림 현상으로 인해 지역 필수의료체계가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고 강조했다.
원정진료·독감 확산… 공공보건 대응체계 취약 드러나
성 의원은 부산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환자들이 수도권 병원을 찾는 현실을 비판했다.2023년 기준 부산에서 수도권 병원으로 이동한 환자는 약 5만 7100명, 하루 평균 155명이 부산을 떠나 치료받는 상황이다.
이는 지역 의료 신뢰 저하의 결과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올해 독감 유행이 지난해보다 두 달 이상 빠르게 시작됐고 외래환자 1천명당 의사환자 수는 13.6명, 전년 대비 약 3.5배 증가한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그는 "소아·고령자·만성질환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예방접종 홍보 및 접근성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예방접종률 절반… 관리체계 부재가 문제"
성 의원은 특히 중증장애인의 예방접종률이 비장애인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현실을 "단순한 홍보 부족이 아닌 관리체계 부실의 결과"라고 질타했다.그는 △찾아가는 접종 확대 △단체 연계 홍보 △접종률 데이터 관리 등 현장 중심의 대응체계 구축을 강하게 요청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공공보건 정책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며 "취약계층 중심의 예방·관리·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공공보건 대응체계를 근본적으로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