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희 북한 외무상은 미국과 영국 등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이 최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재확인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한 것에 대해 "가장 강력한 수사적 표현을 이용하여 단호히 규탄 배격한다"고 밝혔다.
최선희 외무상은 14일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등 대내외 매체에 모두 실린 'G7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적 선택을 거스를 권리가 없다'는 제목의 담화에서 "우리 국가헌법에 대한 직접적 침해로 되는 G7 외무상들의 노골적인 적대적 행위에 강한 불만과 유감을 표시"한다며 이런 입장을 밝혔다.
최선희 외무상은 영구적 핵 보유를 명기한 헌법 존중을 내세우며 "그 누구도 우리에게 위헌을 강요할 권리가 없으며 개헌을 시도하지도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외무상은 특히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미국과 그의 동맹국들이 10년, 20년 아니 50년, 100년을 열창해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보유는 그들에게 싫든 좋든 변함없는 현실로 남아있게 될 것"이라고 발언한 내용을 인용하며 거듭 핵 보유 의지를 강조했다.
최 외무상은 그러면서 미국을 겨냥해 "세계평화와 안전에 대한 실질적인 핵위협이 다름 아닌 세계최대의 핵보유국을 위시하여 핵으로 연결되고 결탁된 핵동맹집단인 G7에서 오고 있다"고 비난했다.
"오늘의 엄혹한 지정학적 환경 속에서 핵 보유는 가장 위험하고 적대적인 국가들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선택"이라고 강변한 그는 "외부의 핵위협이 종식되지 않는 한, 핵을 폭제의 수단으로 삼고 절대적인 패권을 추구하는 세력이 존재하는 한 핵 보유를 영구화한 헌법에 끝까지 충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외무상이 이처럼 '외부의 핵위협'이 종식되어야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은 북·미간에 비핵화 목표가 아닌 핵군축 회담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앞서 G7 외교장관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캐나다에 모여 공동성명을 내고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강하게 규탄하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우리의 의지를 재확인"한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