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출제위원장 "공교육 내 변별력 있는 적정 난이도 문항 고르게 출제"(종합)

김창원 수능 출제위원장이 13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방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위원장인 김창원 경인교대 교수는 13일 "올해 수능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을 충실히 반영하고,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제 방향 브리핑에서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했으며,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의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고 밝혔다. 3년째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기조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그는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은 이미 출제된 것이라도 문항의 형태, 발상, 접근 방식 등을 변화시켜 출제했다"고 덧붙였다.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치러지는 국어·수학 영역에서는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출제됐다.
 
김 위원장은 "선택과목이 있는 영역에서는 과목별 난이도 균형이 이뤄지도록 출제해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출제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도 지난해 출제 기조를 이어서 표준점수 차이가 크게 나지 않고, 영어는 절대평가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학생들의 응답 특성을 고려해서 적절하게 출제했다"고 밝혔다.
 
영역별로는 국어와 영어에서는 출제 범위 안에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했으며, 수학과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은 개별 교과 특성을 바탕으로 한 사고력 중심 평가를 지향했다고 밝혔다.
 
반드시 응시해야 하는 한국사는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기 위해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됐다고 덧붙였다.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의 연계율은 문항 수를 기준으로 50% 수준이며, 특히 영어의 연계 문항은 모두 EBS 교재의 지문과 주제·소재·요지가 유사한 다른 지문 등을 활용하는 간접 연계 방식으로 출제됐다.
 
그는 이공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이 과학탐구 대신 상대적으로 공부 부담이 적은 사회탐구 과목 시험을 치르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에 대해 "학생들이 자신에게 유리한 과목을 선택하려는 본능이 있는데,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가 영역 간 유불리 문제까지 퍼진 형태"라며 "학생들 입장에서도 최선을 다해서 공부를 했다면 어떤 과목을 선택하든 원하는 결과를 얻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애초에 세운 목표 난이도에 따라서 지난해 수능 기조와 올해 했던 6월과 9월 모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근거해서 출제한다면 그러한 유불리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