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청정에너지인 인공태양 연구시설의 부지 선정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풍부한 입지자원과 에너지 공급 안정성, 산업 연계 역량을 보유한 전남 나주의 강점을 부각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유치 후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동신대학교 등 지역대학 및 AI 데이터센터·컴퓨팅센터 등 지역 핵심역량과 융합해 글로벌 에너지 과학 거점으로 도약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남연구원은 12일 「JNI 이슈리포트」 '인공태양 연구시설 구축, 전남 유치의 당위성과 기대효과'를 발간해,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의 산업적 가치 및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국가균형발전과 에너지 거버넌스 확립을 위한 전남의 유치 당위성이 제시됐다.
리포트에서는 인공태양 연구시설 구축의 지역적 파급효과로 인공태양 R&D를 통한 지역 산업구조 고도화, 고급 연구인력 유입과 지역 인재 양성의 선순환 구조 형성, 고용 창출과 정주환경 개선을 통한 지역 인프라 확충, 에너지 혁신 도시로서의 지역 브랜드 가치 제고 등 4가지 측면에서 다양하게 확산될 것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ITER(프랑스), SPARC(미국) 등 세계 주요 핵융합 시설 사례를 통해 물리적, 기술적, 공간적 인프라의 유기적 결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남은 전국 최고의 재생에너지 잠재력과 대규모 전력망, 풍부한 입지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유치역량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한전 본사를 비롯한 에너지 공공기관과 산업 기반이 집적되어 있어, 인공태양 연구시설이 결합되면 국가 에너지정책의 전략적 중심지이자 핵심 연구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전남이 유력한 후보지로 고려되고 있는 데이터·컴퓨팅 센터와 같은 디지털 인프라와 연계하여 AI 기반 플라즈마 제어, 디지털트윈 시뮬레이션 등 에너지 분야의 AI 결합을 가속화하는 데 도움될 것으로 분석했다.
박지원·송주연 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는 국가의 청정에너지 전환 및 연구개발 분권화를 넘어 지역균형발전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전남이 보유한 재생에너지와 AI 시설, 22개 시·군의 산업 데이터가 인공태양과 결합되면 '에너지-디지털 융합모델 생태계'가 선도적으로 구축되어 산업 확장 및 지역경제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제언했다.
끝으로, 연구진은 "정부와 지역이 과학기술정책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지역 주민이 주체가 되는 개방형 거버넌스를 운영하여 과학기술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성장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