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원, 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기관 8곳 선정

신규 5개 기관 포함, 교육 운영·체계 개선으로 청년 귀농인 육성 강화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청사 전경. 농정원 제공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은 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 운영기관으로 8개 기관을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청년귀농 장기교육은 영농 경험이 부족한 청년층(만 40세 미만)의 안정적인 농업·농촌 정착과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실습 중심의 장기체류형 교육과정이다.

신규 운영기관은 지난 9월부터 이뤄진 한 달여간의 공모 접수와 서류 및 발표 심사를 거쳐 8개 기관이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기존 5개 기관을 포함해 총 13기관에서 내년 1월부터 교육이 시작될 예정이다.

한편 청년귀농 장기교육 운영기관의 안정적인 교육 운영·지원을 위해 교육 운영지정 기간이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 확대돼 이번에 선정된 2026년 신규 교육기관부터 적용된다.

교육운영 성과평가 우수기관(최근 2년간 성과평가 평균 A등급 이상)은 지정기간이 자동연장되고 교육운영기관 내부 전문가의 교육강사 비율을 기존 50%에서 80%로 확대해 기관의 교육전문성 활용을 제고한다.
 
교육과정 구성도 개선된다. 기존에는 귀농귀촌 필수 공통과목(귀농귀촌의 이해 및 지원정책, 농업농촌의 이해, 지역주민과의 융화와 갈등 관리)을 각 교육운영기관에서 자체 교육운영했지만 2026년부터는 온라인콘텐츠로 제작해 통합 관리한다. 
 
이에 귀농귀촌 교육생은 해당 교과목을 농업교육포탈에서 한 차례만 수강하면 되고 교육운영기관은 귀농귀촌 심화 교육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농정원은 교육 운영 일정과 체계 등이 달라지고 개선된 만큼 청년귀농 장기교육의 품질 향상을 위해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점검하고 현장 컨설팅과 성과평가, 사후관리 등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윤동진 원장은 "이번 신규기관 조기 선정 및 운영체계 개선 등은 청년들의 농업 진입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며 "앞으로도 청년 농업인이 안정적으로 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운영 개선과 신규교육 발굴, 컨설팅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