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가뭄' 겪은 강릉 "물 걱정 없는 도시 구축"…연곡 지하수 저류댐 12월 착공

지하수 저류댐 설치 사업조감도. 강릉시 제공

지난 여름 사상 최악의 가뭄을 겪은 강릉시가 지역 생활용수의 87%(약 18만 명)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의존도를 낮추고, 도시 전역의 용수공급 안정을 위한 수원 다변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2일 강릉시에 따르면 시는 기후변화와 강수 패턴의 불안정과 도시 성장에 따른 용수 수요 증가로 단일 수원 의존이 한계에 이르렀다고 판단해 다양한 수원을 연계한 안정적 공급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중장기 물관리 전략을 추진해 왔다.
 
이를 위해 지난해 3월 29일 기후에너지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와 수원 다변화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강릉 북부권의 핵심사업으로 지하수 저류댐 설치와 노후된 연곡정수장 현대화·증설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에 시는 오는 12월부터 연곡면 송림리 일원에서 지하수저류댐 설치공사에 착공하고, 동시에 노후된 연곡정수장 현대화·증설사업의 설계 발주를 병행해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강릉 전역의 용수공급 안정을 위한 수원 다변화 사업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전영래 기자

지하수 저류댐 설치사업에는 총사업비 250억 원이 투입되며 완공 시 하루 1만 8천 톤 규모의 지하수 취수 시스템이 구축된다. 기존 1만 6500톤에 추가로 1만 8천 톤이 더해져 하루 3만 4500톤의 원수를 확보하게 된다.

이를 통해 그동안 생활용수 의존도가 높아던 오봉저수지 수위 변동이나 가뭄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대체수원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기존 연곡천 복류수와 함께 총 3만 4500톤 규모의 원수 확보가 가능해져 강릉 북부권과 도심권의 급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시는 확보된 원수를 정수 처리하기 위한 연곡정수장 현대화사업(498억 원)과 증설사업(500억 원)도 추진한다. 올해 말 기본 및 실시설계 발주를 동시 진행해 오는 2027년 착공, 2029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강릉 오봉저수지. 전영래 기자

현대화사업은 노후된 정수시설을 전면 재정비·재건축해 처리 효율과 시설 안정성을 높이는 사업이다. 증설사업은 정수용량을 기존 1만 4800톤에서 3만 톤으로 확대해 홍제정수장의 급수구역 부담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두 사업이 완료되면 강릉 전역의 상수도 공급 능력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홍규 시장은 "오봉저수지 중심의 용수 공급 구조를 과감히 바꾸고, 강릉 전역이 스스로 물을 확보·관리하는 독립형 도시로 거듭나도록 하겠다"며 "유출 지하수와 하천 복류수 등 다양한 수원을 활용한 기반시설 확충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기후변화로 반복되는 동해안 물부족 상황에도 강릉시가 앞으로 두번 다시는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릉시 제공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