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브로커 명태균 씨와 김영선 전 국회의원의 불법 정치자금 사건 재판에 공천 개입 의혹 폭로자 강혜경 씨가 증인으로 이틀째 출석해 답변을 이어갔다. 피고인 명씨와 김 전 의원을 비롯해 재판장도 강씨에게 많은 질문을 쏟아내며 강한 압박이 이뤄졌다.
김영선 "회계책임자 착각 가능한가"…강혜경 "세밀하게 교육 못 받아"
창원지법 형사4부(재판장 김인택)는 11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 사건 17차 공판을 진행했다. 이날은 강씨가 전날부터 이틀째 출석해 증인 신문이 진행됐다.김영선 전 의원은 이날 "증인(강씨)은 2022년 국회의원 회계책임자로 선거보전 비용 착각할 수 있나"라고 물었다. 그러자 강씨는 "그 부분 세밀하게 교육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또 김 전 의원은 "2022년 7월 9700만원 선거보전비용 들어오는데 증인은 선거차량 미지급금이랑 증인이 몇천만 원 빌려준 돈이랑 가져가야 하니 월급 들어올 때 갚아 달라고 했지?"라고 물었고 강씨는 "그런 사실 없다"고 답했다.
재판장 영수증 누락 지적…"고의 아닌가"…강씨 "일이 많았다"
재판장은 "증인이 2022년 6월 보궐선거 당선 때까지 김 전 의원에게 받아야 할 돈이 총 얼마나 되나"라고 묻자 강씨는 "2천여만 원이다"라고 답했다. 또 재판장은 "명태균 씨가 김 전 의원을 위해 선거비용 대납하거나 한 거는 얼마인가"라고 묻자, 강씨는 "5천만 원이다. 보궐선거를 기준으로"라고 했다.또한 재판장은 "선거 관련 증빙서류 누락은 한번이야 실수라 할 수 있지만 2022년, 2023년 2년 연속이면 고의적인 거 아닌가"라고 묻자 강씨는 "고의적인 거보다 지역 관련 일이 많았다"고 답했다.
재판장은 "증인의 가장 중요한 일은 회계업무인데 무엇보다 그걸 먼저해야 하지 않나?"라고 물었다. 강씨는 "영수증과 계약서 등을 포함해서 영수증으로 선관위는 확정하는데 제가 거래한 업체는 영수증만 주는 간이업체가 많았다"며 "선관위에 영수증만 주면 미비로 보더라"고 답했다.
명태균 "1억 1천만 원 왜 썼나"…강혜경 "회사 경비 등 나간 것"
명태균 씨 측 변호사는 "대구경북 지역 공천 희망자 배모 씨와 이모 씨 등 2명(기소)에게서 2억 4천만 원을 받아오는데 증인의 남편에게 3100만 원, 증인의 카드 3200만 원 등 1억 1천만 원을 증인이 쓴 반면 명씨는 1400만 원을 사용했다"며 "명태균이 공천 대가로 돈을 받아왔다면 자신이 쓰지 왜 미래한국연구소로 입금하는가"라는 취지로 물었다.강씨는 이에 "회사 경비 등으로 많이 나간 것이고 카드도 명씨가 내 카드를 사용해서 그런 것"이라며 "2억 4천만 원도 한번에 들어온 게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명씨 측은 "공천 희망자 2명에게서 미래한국연구소장 김태열(기소)씨가 혼자서 운영 자금으로 2억 4천만 원 빌린 거 아닌가"라며 "명씨는 이 돈에 관련된 게 아니지?"라는 취지로 물었다.
이에 강씨는 "명씨는 돈을 빌려 온 게 아니고 독립자금이라고 표현했고 그 2명은 공천 받기 위한 사람들이라고 했다"며 "명씨는 이준석 당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등을 만들었기에 공천을 줄만한 능력이 될 거라고 봤다"고 주장했다.
남은 질문이 많아 재판부는 다음 공판에서도 강씨를 증인으로 불러 신문하기로 했다. 다음 18차 공판은 오는 24일 오전 10시에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