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곳곳에서 공무원과 군인을 사칭한 물품 사기가 발생하는 가운데 경북 경주에서도 공무원 사칭 범죄가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경주시는 최근 시청 총무새마을과 소속 박 아무개 주무관의 실명과 부서명, 직인을 도용한 사칭 범죄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사칭자는 경주지역 한 업체에 "시청에서 물품 구매를 진행하고 있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낸 뒤 견적서와 거래를 요청했다.
이어 실제 시청 공문과 유사한 서식을 합성해 제작한 '물품구매 확약서'와 '사업자등록증 사본' 등을 함께 보내며 공식 공문처럼 속이려 했다.
또 "급히 결제가 필요하다"며 특정 민간 업체를 지정해 "이곳과 협의해 결제해 달라"고 안내했으며, 이 과정에서 특정 업체는 2520만 원을 선입금하면 물품을 배송하겠다는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경주시는 이 같은 수법이 허위 공문서를 이용해 공공기관 발주로 오인시킨 뒤 제3의 계좌로 결제나 물품 납품을 유도하는 전형적인 신종 피싱 수법이라고 밝혔다.
다행히 피해자는 입금을 진행하기 전 시청으로 전화를 걸어 사실 여부를 확인했고, 이를 접수한 총무새마을과 박모 주무관이 피싱 범죄임을 직감해 직접 피해자를 직접 만나 설명하면서 금전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경주시는 사칭자가 사용한 전화번호(010-2984-****)와 이메일 계정(limbyeol***@naver.com)을 확인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주낙영 시장은 "경주시는 문자나 SNS를 통해 견적이나 거래를 요청하지 않으니, 유사한 연락을 받으면 반드시 시청 대표번호로 연락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 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