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겸 울산시장 "33조 투자 유치로 'AI수도' 도약…'꿀잼도시' 거듭날 것"

CBS '부울경 투데이' 출연…"부울경 광역교통망 구축 시급"
"균형발전 위해 재정권·국토이용권 중앙정부가 이양해야"

김두겸 울산시장. 이상록 기자

김두겸 울산시장은 "파격적인 친기업 정책과 규제 혁신으로 민선 8기, 33조 원에 달하는 기업 투자를 유치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울산을 '산업수도'에서 'AI수도'로 도약시키고, '노잼 도시' 오명을 벗고, '꿀잼 도시'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 시장은 부울경 CBS 공동제작 프로그램 '부울경 투데이'와의 릴레이 인터뷰에서 울산시정 성과와 부울경 초광역 협력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 시장은 먼저 부울경 초광역 협력의 성과로 '효율성'을 꼽았다.

그는 "과거 인력 143명, 예산 136억원의 '메가시티' 조직을 인력 11명, 예산 3억원의 '경제동맹'으로 전환했다"며 "인력과 예산을 대폭 절감하면서도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사업비 2조 5천억원)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등 실질적인 성과를 냈다"라고 자평했다.

또 "부울경이 함께 개발제한구역(GB) 해제 등 지방 권한 이양에 목소리를 낸 덕분에 울산은 약 45만 평의 새로운 성장 공간을 확보했다"며 "이것이 민선 8기 올해 9월 기준 33조 5300억원의 기업 투자를 유치하는 밑거름이 됐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부울경 협력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광역 교통망 구축'을 지목했다

그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광역철도 외에도 동남권 순환철도(울산-양산-김해), 가덕도 신공항 광역철도, 울산-양산 고속도로 등이 조속히 국가 계획에 반영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지역 정치권과 공동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시장은 부울경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과 권한을 지방정부로 이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방정부가 제대로 일하려면 충분한 재원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 국세와 지방세 비율은 8 대 2 수준에 불과하다"며 "이를 7대 3, 6대 4 구조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 전국 지방정부의 공통된 의견이고, 단순히 수치만 높이는 게 아니라 지방소비세(25.3%)나 지방교부세(19.2%) 비율을 높여 지방 세수는 지방에 투입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수도권과 동일한 전기요금 체계의 불합리성을 지적하며 '전기요금 차등제' 도입을 강력히 촉구하기도 했다.

김 시장은 울산의 미래 비전으로 'AI 수도'를 제시했다.

그는 "조선, 자동차, 화학 등 울산의 4대 주력 산업에 AI를 접목해 고도화할 것"이라며 "그 핵심 시설이 바로 SK와 아마존 웹 서비스(AWS)가 7조원을 투자하는 울산 AI 데이터센터"라고 밝혔다.
 
김 시장은 "현재 100MW급 국내 최대 규모로 짓고 있으며, 향후 1GW(100조 원 규모)까지 확대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울산은 전력 자급률이 현재 103%이며, 새울 원전 3·4호기와 해상풍력이 가동되면 303%까지 오른다"면서서 "안정적인 전력망은 AI 생태계 활성화에 최적의 조건"이라고 자신했다.
 
이어 김 시장은 '산업은 산업대로, 문화는 문화대로'라는 '투 트랙' 전략을 통해 '노잼 도시' 이미지를 벗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최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 암각화'를 언급하며 "보존과 조화를 원칙으로 '세계 암각화 센터'를 건립하고 AI 기반 체험 콘텐츠를 마련해 세계적인 관광 자원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간월재의 황금빛 억새, 태화강 국가정원의 핑크 뮬리, 해맞이 명소 간절곶 등 울산은 천혜의 자연경관을 가진 도시"라며 "시민들이 소소한 즐거움을 누리는 '꿀잼 도시' 울산을 만들겠다"고 인터뷰를 마쳤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