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KB' 금융, 5년간 생산적·포용금융에 110조 규모 지원

KB금융지주 제공

신한금융그룹과 KB금융그룹이 오는 2030년까지 앞으로 5년간 생산·포용적 금융 분야에 110조 원 규모를 투입하기로 했다.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생산적 금융 전환 정책 방향에 보조를 맞추는 분위기다.
 
신한금융은 9일 '신한 K-성장! K-금융!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110조 원 규모로 우선 국가 핵심 산업의 혁신 역량을 키우는데 93조~98조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국민성장펀드 투자 10조 원 △그룹 자체 초혁신경제 금융지원 투자 10조~15조 원 △그룹 자체 초혁신경제 금융지원 기반 대출 72조~75조 원 등이 꼽힌다.

신한금융은 반도체·지역 인프라 등 국가 전략산업의 핵심 기반과 신산업을 대상으로 대규모 파이낸싱 작업에 나선 상태다. 반도체 산업 클러스터의 교통·용수 인프라 등에 총 5조 원 규모의 금융을 주선하고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총 5조 원 규모의 CTX(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사업도 병행하기로 했다.

신한금융은 서민·소상공인·자영업자 등 민생경제 회복을 지원하고 금융 취약계층의 신용 회복과 재기를 위해 12조~17조 원 규모의 포용적 금융에도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도 5년간 110조 원을 생산적·포용금융 분야에 공급할 방침이다.

우선 93조 원의 생산적금융 지원 가운데 25조 원은 투자금융에, 68조 원은 전략산업융자(기업대출)에 투입된다. 투자금융은 △국민성장펀드 10조 원 △그룹 자체투자 15조 원으로 구성된다.

KB금융은 지난 9월 신설된 '그룹 생산적금융 협의회(계열사 사장단 포함 경영진 21명 참여)'를 통해 생산적·포용금융 세부 실행방안을 논의하고 주기적으로 실적도 점검하고 있다.

KB금융은 국가 산업육성 관점에서 대출 지원을 확대하고 계열사의 부동산 금융 영업조직을 축소하고 기업·인프라 금융 영업조직을 확대하는 개편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