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춤을 재해석한 서울시무용단의 신작 '미메시스' 초연에 객원 무용수로 참여하는 기무간이 개막 첫날인 6일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열린기자간담회에서 한국무용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웃어보였다.
'미메시스'는 교방무, 한량무, 소고춤, 장검무, 살풀이춤, 승무, 무당춤, 태평무 등 8가지 전통춤의 본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선보이는 무대다. 공연 제목 '미메시스'(Mimesis)는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것으로, 예술의 본질을 재현한다는 의미의 미학적 개념이다.
자신을 "움직이는 사람"이라고 소개한 그는 "제가 배웠던 한국무용으로 다른 시도를 많이 해오다가 오랜만에 전통춤을 접할 기회가 생겨 반가웠다"면서도 "다시 해보려 하니 감을 잃었다고 해야 하나, 처음에는 어려웠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도 "다시 배우는 과정으로서 저 스스로를 꾸짖을 시간이 됐던 것 같다"며 "전통춤을 더 많이, 열심히 추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기무간은 8개 장으로 나뉘는 '미메시스'에서 장검무와 태평무를 각각 재해석한 4장과 8장 무대에 오른다. 4장에서 북소리에 맞춰 비장하면서도 절도 있는 장검무로 객석을 압도했고, 8장에서는 부드러우면서도 품격 있는 무대를 선보였다.
'미메시스'는 자연의 흐름을 은유했다.
윤혜정 서울시무용단 예술감독은 전통춤의 움직임과 자연의 흐름 사이에서 닮은 점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을 구성했다. 큰 칼을 절도 있게 휘두르는 장검무에서는 번개를, 하늘하늘한 한량무에서는 바람을, 부드러운 선이 강조되는 교방무에서는 물을 연결했다.
고전의 아름다움을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의 한복도 볼거리다.
김지원 의상디자이너는 "전통 복식의 가장 큰 실루엣의 특징이 '하후상박'이다. 상체는 굉장히 박하게 붙이고 하체는 되게 부풀리는 특징을 갖고 있는데, 제가 이번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바로 상체는 박하게 붙이고 하체가 부풀어지는 전통의 '하후상박' 실루엣으로 풀어냈다"고 말했다.
각기 다른 8개의 춤 덕에 무대는 한층 다채로운 분위기를 띄면서 시간가는 줄을 모르게 된다.
'미메시스'는 9일까지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공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