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이승연 의원(국민의힘·수영구2)이 광안대교 하부에 설치된 스틸케이슨(철로 만든 대형 구조물)이 준공 이후 수년째 철거되지 않고 방치돼 부식과 수질오염, 도시 이미지 훼손을 초래하고 있다며 근본적인 해결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6일 열린 제332회 정례회 도시공간계획국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안대교 스틸케이슨은 임시 구조물이지만 아직도 철거되지 않은 채 부식이 진행되고 있다"며 "부산의 대표 랜드마크가 녹슨 철판으로 남아 있는 것은 해양수도 이미지를 스스로 깎아내리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임시 구조물인데 철거 안 해… 부산항대교엔 없다"
이승연 의원은 콘크리트 교각 시공 시 거푸집 역할을 하는 스틸케이슨은 임시 구조물로, 준공 후 철거가 원칙임에도 광안대교만 예외적으로 그대로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슷한 규모의 부산항대교에는 이런 구조물이 남아 있지 않다"며 "철거하지 않은 이유와 그 결정을 내린 배경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해양오염·관광 이미지 훼손 심각"
이 의원은 부식된 철판이 파도에 씻겨 나가면서 바닷물 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을 우려했다.
"광안대교는 해양관광의 중심지인 광안리 해수욕장과 인접해 있어, 부식물질이 해수로 스며들면 관광객들이 오염된 물에 직접 노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SUP 패들보더와 요트를 타는 시민들이 녹슨 철판을 보고 사진을 찍어 보내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며 "부산의 상징이 시민의 민원 사진으로 회자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매년 수천만 원 들여 가리기 급급… 이제는 철거해야"
이승연 의원은 부산시설공단이 녹을 감추기 위해 매년 2천만~3천만 원의 예산을 들이고 있다며 "100억 원 이상의 철거 비용이 들겠지만, 이제는 임시방편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광안대교는 부산의 랜드마크이자 시민 일상 속 풍경이다. 환경·안전·이미지 삼중 위협을 더는 방치할 수 없다"며 시가 철거를 포함한 실질적 해결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