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6일 12.3 내란사태에 행정적 책임이 있는 행위에 대한 선별 필요성을 언급하며 "조만간 관련된 별도의 조직이 필요하다면 발족하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강 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내란 당시 전 부처 공무원들이 역할을 한 것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더불어민주당 김영배 의원의 질의에 "동의한다"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내란 특별검사(특검)이 진행되고 있지만 (수사 대상이) 매우 중요한 핵심 사안으로만 한정됐다"며 "더 많은 범위에서, 더 많은 것이 이뤄졌을 가능성을 부인하기 어렵다. 부인할 수 없는 그 상황에 대해서도 행정적인 절차와 책임을 확인해야 한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강 실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씨가 출입이 제한된 문화유산에 출입했다는 의혹을 조사해달라는 민주당 김준혁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는 "저희가 대통령실에 왔을 때 이미 많은 기록을 삭제한 상태였다. 저희도 지난 정부의 문제점에 대해 낱낱이 밝히고 싶은 게 한둘이 아니지만 그 모두를 없애버렸던 지점에 대해 양해 말씀을 올린다"고 말했다.
다만 "김씨가 국가의 수장고라든지 주요 문화재에 함부로 들어가서 국민의 역린을 건드린 사태에 대해 발본색원하고, 내용을 다 확인해 보고드리겠다"고 답했다.
한미 관세협상 합의 내용이 담긴 '팩트시트'(설명자료)의 발표 시점에 대해서는 "일방적으로 예단해서 언제까지 된다고 말씀드리기는 쉽지 않다"면서도 "대략 이번 주를 넘기지 않을 것이란 정도로 완만한 협상과 협의가 돼 있다"고 말했다.
원자력 추진 잠수함 관련 내용이 쟁점이냐는 질문에는 "아니다"라며 "미국 부처 안에도 여러 부처가 이 문제에 대해 다부처 사안으로 논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관세협상 관련 양해각서(MOU) 체결에는 국회 비준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선 "비준을 할 것인지 법률로서 할 것인지 이런 것들에 대한 논의들은 차제에 하더라도, 모든 내용이 투명하게 국회에 보고돼서 여러 위원님들께서 의견을 모아주시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