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알츠하이머병 발병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 요인을 새로 밝혀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6일 삼성서울병원 등과 함께 수행한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유전적 요인(SORL1, APCDD1, DRC7 등)을 대거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의 '뇌질환 연구기반 조성 연구사업(BRIDGE)'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연구진은 한국인 노인성 치매환자 코호트의 유전체 정보와 아밀로이드 PET 뇌영상 자료를 통합 분석해, 알츠하이머병의 병리적 요인과 인지기능 저하를 직접 연결하는 새로운 유전 인자를 찾아냈다.
알츠하이머병은 전 세계적으로 5700만 명 이상이 고통받는 대표적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이 전체 발병 위험의 약 60~8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대규모 유전체연관분석(GWAS)은 대부분 유럽인 중심으로 수행돼, 아시아 인구의 유전적 다양성과 특이적 변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이에 연구진은 한국인 대상의 정밀 영상·유전체 통합 연구 플랫폼을 활용해, 뇌영상에서 확인된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정보와 전장 유전체 데이터를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병의 핵심 병리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을 억제하는 'SORL1' 유전자의 보호 효과를 입증했다.
SORL1 변이가 존재할 경우 아밀로이드 축적 위험이 40% 이상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APOE4 유전자 보유자에서도 일관된 보호 효과를 보였다.
또 여러 유전 변이가 동시에 존재할 경우 발병 위험이 누적되는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설명하는 '누적 효과(cumulative effects) 모델'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이 모델이 개인별 유전 조합에 따른 발병 예측과 맞춤형 치료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두 편의 논문으로 연속 게재됐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 앞으로도 국가 단위의 코호트 장기 추적조사 연구를 계속 지원해 나가고, 더불어 유전체·임상·영상 정보를 통합한 연구를 적극 지원해, 치매를 비롯한 주요 만성질환의 조기 예측과 맞춤형 치료가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