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행정망, '단일 서버 의존' 여전
부산시의 디지털 재난 대응체계가 여전히 단일 서버 중심으로 운영돼, 대형 사고 발생 시 행정 전산망 마비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부산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 이승연 의원(국민의힘·수영구2)은 5일 시민안전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지난 9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전국 행정망이 멈췄던 사태가 반복될 수 있다"며 "부산시 역시 본청 내부 단일 서버에 의존하는 구조로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대구만이 전면적인 이중화 체계를 마련했고, 대부분은 일부 시스템만 이중화하거나 백업 데이터 보관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부산도 유사 재난이 발생하면 복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민간 클라우드 도입 등 분산 저장 검토해야"
이 의원은 최근 국내외 공공기관들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부산시의 선제적 대응을 주문했다. 그는 "시민안전실이 재난관리 총괄부서임에도 디지털 재난 대응이 소극적"이라며 "정보관리부서와 협력해 도시 기능 전체가 마비되지 않도록 조속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한편 부산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는 제332회 정례회 일환으로 5일부터 14일까지 소관 8개 부서와 기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