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내란 사태의 주범 중 한 명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 선포 전날인 지난해 12월 2일 원천희 국방정보본부장으로부터 '외환 유치 의혹'과 관련된 이른바 '300단위 개념공작계획'과 '알파벳 공작 사업'에 대해 보고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정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 박선원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방정보본부·방첩사령부·사이버작전사령부에 대한 국정감사 뒤 기자들과 만나 "계엄 당일 (HID의) 판교부대 속초부대 등이 이동했을 때 제기된 의혹과 외환 유치 관련 부분이 이 답변으로 모두 해소됐다"고 말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지난해 11월부터 정보사령부의 예산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특히 국가정보원이 관리하는 '정보 예산'으로 구매한 정보사의 장비와 임무에 대해 원 본부장에게 보고를 요구했다.
계엄 선포 전날인 12월 2일, 김 전 장관은 다른 보고는 귀에 들어오지 않았지만 유독 1시간 30분 동안 이에 대한 보고를 원 본부장에게 받았다고 한다. 박 의원은 "원 본부장이 김 전 장관에게 정보사령부가 어떠한 단계를 거쳐 임무를 수행하는지를 보고했다"며 "'300단위 개념공작계획'과 '알파벳 공작 사업'에 대해 보고했다"고 전했다.
다만 그는 '해당 사업에 지금까지 제기된 외환유치 공작 의혹 외에 새로운 것이 포함돼 있느냐'는 질문에는 "별도이다. 구체적 내용을 말할 수는 없다"며 "HID(육군첩보부대), UDU(해군첩보부대)가 결합된 공작과 동·서해상의 공작 등 다양한 공작이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정보사령부가 몽골의 북한 대사관을 통해 북한과 접촉해 공격을 유도하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지난해 9월 8일부터 10일간 몽골을 방문해 정보기관 협조를 재구축했다"며 "11월 18일 정보사령부 소속 장교 2명이 북한 대사관 쪽을 정찰하는 등 행위를 하기 위해 몽골을 방문했다가 현지 군사정보당국에 체포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정원 황원진 2차장(대북정보 담당)과 문상호 정보사령관이 몽골 국방정보당국에 사과 편지를 보내 석방시켜 나왔다"며 "국정원과 정보사가 계속해서 몽골의 정보기관에 때로는 협조, 때로는 허가 없이 침입 또는 잠입해서 북한 대사관과 모종의 임무를 수행하는 데 첫 단추를 조태용이 열었고, 두 번째로 정보사가 구체화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고 말했다.
이른바 '평양 무인기 침투 사건'에 대해서도 박 의원은 "10월 10일 김여정 이름으로 우리에 대한 비난 성명이 나온 뒤인 10월 14일, (원 본부장이) 북한 주민의 동향에 대한 정보 수집 지시를 정보사령부와 777사령부에 내렸다"며 "북한 주민들이 매우 동요하고 있으며 당국이 전쟁 준비 상태에 들어갔다는 보고까지 받았다고 한다"고 했다.
특히 박종선 777사령관에 대해서도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과 매우 가까운 사이로, 평소에도 자주 통화한다고 한다"며 "10월 14일 원 본부장의 북한 주민 동향 파악 지시 이후, 특히 10월 15일에 상당히 긴 시간 동안 문 전 사령관과 통화했다. 이는 10월 14일, 김 전 장관이 문 전 사령관에게 앞으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지시를 따르라고 한 직후 있었던 일"이라고 했다.
이어 "해당 보고 이후 아파치 헬기를 군사분계선상 근접비행시키는 '통합정보작전'을 실시하고, 추가적인 무인기 작전을 최하 5번 이상 실행했다고 한다"며 "아파치 헬기를 동원한 작전은 합참 작전본부장, 작전기획부장, 지상작전사령관, 1군단장, 공군작전사령관도 참여했고 정식 작전이었기에 정보본부장도 인지하고 있었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증언의 의미를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기 위한 작전에 합참을 비롯한 군의 모든 핵심 작전본부가 관련돼 있다는 것"이라면서도 "평양 무인기 작전에 대해선 정식 작전이 아니고 국방부 직속 부대의 작전이기 때문에 (원 본부장 본인이) 사전 인지를 못했다고 했다"고 밝혔다.
한편 개혁이 진행 중인 방첩사령부에 대해선 "현재 국방부가 민관군 합동 특별자문위원회를 출범해 국방개혁 전반을 토의하고 있고, 방첩사는 사령관이나 핵심 부서장이 참석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며 "편무삼 사령관 직무대리는 '국가전복과 내란을 사전에 탐지하고 막는 것이 방첩사의 임무인데 이번 내란 연루된 것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사과한다'고 말했다"고 박 의원은 전했다.
그는 "TF는 오늘까지 합쳐 4번 회의를 했는데 방첩 기능을 어떻게 유지하고, 수사 기능을 국방부 조사본부에 어떻게 이관할지와 함께, 일부 임무는 정보본부에 이관하면서 방첩 기능을 유지하는 방안에 대해 매우 깊이, 심도 있게 토론하고 있다"며 "TF 활동 기간은 12월까지로, 올해 안에 정리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