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은 햇빛연금, 기업은 RE100 실현"

광주시, '농업·에너지 상생모델' 세운다
전국 최초 '기업 RE100 연계' 영농형태양광 본격 추진
국회의장·농식품부장관·농민 등 200여명 참석… 성공 의지 다져

광주광역시는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 출범식'을 열었다. 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가 전국 최초로 '기업 RE100'과 연계한 영농형 태양광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 사업은 기업에는 친환경전력 조달 기반을, 농민에게는 지속가능한 기본소득 모델을 제시하는 '농업·에너지 상생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광주광역시는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 출범식'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인 '농민 햇빛연금 기본소득 도입'의 첫 단추를 끼우는 자리였다.

이날 출범식에는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우원식 국회의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박균택 국회의원, 신수정 시의회 의장, 이원주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전환정책실장, 농민 등 200여명이 참석해 성공적인 사업 추진 의지를 다졌다.

영농형 태양광은 농지 상부에서 태양광 발전을, 하부에서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이다. 동일한 토지에서 농업과 친환경 에너지 생산을 병행해 토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한다.

특히 광주시 사업은 전국 최초로 '기업 RE100'과 연계된다. 광산구 본량동 일원 농지 약 20만㎡에 10MW 규모의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하고,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인근 기업에 공급해 기업의 RE100 실현을 돕는다.

농민과 기업이 동시에 이익을 공유하는 대표적 상생 모델이 될 전망이다.

사업은 '농민 주도형'으로 기획됐으며, 연말까지 특별법 제정과 농지법 개정 등 제도 정비도 병행한다.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에는 본량동 주민과 정부 관계부처 실국장, 광주시, 광산구, 시·구의회 의원 등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협의회는 사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조정하고, 사회적 합의 기구 역할을 맡는다.또 재생에너지지구 지정, 영농법인 설립 지원 등 정부 정책에 신속히 대응하도록 행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득룡 민관협의회 위원장은 "영농형 태양광이 단순 전기 생산을 넘어 농민의 지속 가능한 소득 창출과 지역사회의 미래를 바꾸는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며 "농민 목소리가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에너지전환이라는 국가적 과제와 지역의 갈등을 대화와 협력으로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상생 모델을 만드는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농민 중심의 모범적 모델을 만드는데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강기정 시장은 "이번 사업은 농민에게는 햇빛연금, 기업에게는 RE100 실현을 가능케 하는 일거양득 사업"이라며 "농민 주도의 사회적 합의 모델로 농업과 에너지가 상생하는 전국적 표준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