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료원이 심각한 재정난과 내부 경영 부실로 파산 위기에 내몰린 가운데,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가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의료원의 자구 노력 부재와 내부 혁신 부족을 강하게 질타했다. 의원들은 단순한 예산 지원이나 차입금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병상 가동률 제고·의료진 확보·민원 대응 시스템 개선 등 근본적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적자 누적에도 대책 없어… 40억 차입은 어불성설"
복지환경위 소속 신정철 의원(해운대1, 국민의힘)은 5일 부산의료원에 대해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부산의료원이 올해 직원 급여를 제때 지급하지 못할 정도로 재정 상황이 악화됐다"며 "이 와중에 40억 원의 추가 차입까지 진행한 것은 예산 추계 실패의 결과"라고 지적했다.신 의원은 또 "추석 연휴와 정형외과의 사직을 차입 사유로 든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명절 일정은 이미 예정돼 있었고, 사직 시점 또한 차입 시기와 간극이 크지 않다"고 비판했다.
또한 수의계약 관리의 부실과 특정 5명이 사업체를 돌려 맡으며 수주한 사실을 지적하며 "공공기관의 투명성이 흔들리고 있다. 내부 조사를 통한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의 공백·병상 가동률 저조"… 시민 신뢰 위기
문영미 의원(비례, 국민의힘)은 "신경외과·혈액종양내과 등 필수 진료과 전문의 공백이 장기화되며 환자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진료 의사가 없어 환자가 줄어드는 구조적 위기"라며, 의료진 확보를 위한 제도적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평가 하락·분만실 폐쇄"… 공공성 회복 시급
이종진 의원(북구3, 국민의힘)은 "부산의료원이 최근 2년 연속 지역거점 공공병원 평가에서 C등급으로 하락했다"며 "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0점을 받은 것은 뼈아픈 결과"라고 지적했다.또한 "공공병원이 저출생 시대에 분만실을 운영하지 않는 것은 시민 기대와 배치된다"며 분만실 기능 회복을 촉구했다.
이어 "과거 '3for1 통합지원센터'의 성과를 계승해 통합건강지원센터가 실질적 지역 돌봄 허브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불친절 민원 90%… 응대 문화부터 바꿔야"
박희용 의원(부산진1, 국민의힘)은 "최근 3년간 접수된 민원의 90% 이상이 불친절 관련이었다"며 "사과나 면담으로 끝내는 미봉책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응대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박 의원은 "좋은 의료진만으로는 병원의 신뢰를 지킬 수 없다. 친절과 소통이 공공병원의 경쟁력"이라며 "치료는 냉정하되 응대는 따뜻한 병원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공공의료 본질로 돌아가야"
이번 행정사무감사에서 복지환경위원회 의원들은 한목소리로 "단순한 재정 투입이 아니라 내부 혁신과 책임 경영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부산시는 올해 부산의료원에 총 174억 원을 출연했으나, 의료원은 여전히 채무와 적자에 허덕이며 경영 정상화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의원들은 "시민 세금이 투입되는 공공병원인 만큼 경영 투명성과 서비스 품질을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며 "병상 가동률 제고, 의료진 확충, 민원 응대 개선 등을 포함한 전면적 혁신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